서울시가 어린이집 교사 인건비와 코로나19 방역비용으로 138억여 원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운영난을 겪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고용유지 지원금 75억 원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서울시의 교사 인건비 지원은 교사들이 보육에 전념하고 어린이집에서 정상적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라며 “일선에서 코로나 방역에 협조해 주시는 보육교직원들의 노고에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교사인건비 외에도 모든 어린이집에 방역소독비용 34억 원과 마스크·체온계 등 방역물품 28억5천만 원 어치 등 모두 63억 원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어린이집이 휴원 장기화와 이용아동 수 감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어린이집의 고용유지와 정상운영을 도우려는 취지로 마련됐다.
서울의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아동 수는 2019년 말 21만7천 명에서 2020년 3월 19만4천 명으로 줄었고 어린이집 수는 같은 기간 5698곳에서 5492곳으로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운영난을 겪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고용유지 지원금 75억 원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운영난을 겪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고용유지 지원금 75억 원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시>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서울시의 교사 인건비 지원은 교사들이 보육에 전념하고 어린이집에서 정상적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라며 “일선에서 코로나 방역에 협조해 주시는 보육교직원들의 노고에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교사인건비 외에도 모든 어린이집에 방역소독비용 34억 원과 마스크·체온계 등 방역물품 28억5천만 원 어치 등 모두 63억 원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어린이집이 휴원 장기화와 이용아동 수 감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어린이집의 고용유지와 정상운영을 도우려는 취지로 마련됐다.
서울의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아동 수는 2019년 말 21만7천 명에서 2020년 3월 19만4천 명으로 줄었고 어린이집 수는 같은 기간 5698곳에서 5492곳으로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