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이 취임 1주년을 맞아 '주거복지'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에 더욱 힘을 쏟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6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이정환 사장은 2019년에도 서민과 취약계층의 주거 안전망 강화에 계속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정환 사장은 신년사에서도 “전례 없는 양극화 현상으로 영세 서민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는 만큼 서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포용적 주택금융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안정적 정책 모기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금융기관과 업무협약을 확대해 취약계층을 향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환 사장은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는 모습을 2018년 1월3일 주택금융공사 사장으로 취임한 후 1년 동안 꾸준히 보여왔다.
우선 그는 소규모 임대주택 보급을 확대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추진해 서민들의 주택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힘썼다.
또 주택연금을 받는 사람이 치매나 불가피한 사유로 요양병원에 들어가면 담보주택을 임대할 때 주택연금을 받을 수 없었던 점을 개선해 안정적 노후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이정환 사장이 취임할 때만 해도 이른바 '낙하산'이라는 비난 섞인 목소리도 많았다.
이 사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한민국 대표부 경제참사관과 재정경제부 국고국장을 거쳐 국무조정실 심사평가조정관을 역임하고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지냈다.
19대 국회의원 총선 때 당시 문재인 민주당 대표의 제의를 받고 정치에 뛰어들었다. 민주당 소속으로 두 차례 총선에 출마했고 2017년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정책 자문을 담당한 이력이 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이 시장이 취임 후 1년 동안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면서 오랜 공직 경험에서 나온 전문성을 발휘해 서민 포용적 금융을 내세우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기조를 잘 뒷받침하고 있다는 평가를 공사 안팎에서 받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선임 이후의 공과와 별개로 앞으로 업무 수행에 문제가 없는지 경계를 늦추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팀장은 “공기업 사장은 선임된 이후 업무 수행을 잘 한다는 사회적 평가가 있더라도 언제든 정치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추고 임무를 수행하는지를 두고 엄격한 잣대로 감시하는 일을 거두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6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이정환 사장은 2019년에도 서민과 취약계층의 주거 안전망 강화에 계속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 이정환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이정환 사장은 신년사에서도 “전례 없는 양극화 현상으로 영세 서민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는 만큼 서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포용적 주택금융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안정적 정책 모기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금융기관과 업무협약을 확대해 취약계층을 향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환 사장은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는 모습을 2018년 1월3일 주택금융공사 사장으로 취임한 후 1년 동안 꾸준히 보여왔다.
우선 그는 소규모 임대주택 보급을 확대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추진해 서민들의 주택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힘썼다.
또 주택연금을 받는 사람이 치매나 불가피한 사유로 요양병원에 들어가면 담보주택을 임대할 때 주택연금을 받을 수 없었던 점을 개선해 안정적 노후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이정환 사장이 취임할 때만 해도 이른바 '낙하산'이라는 비난 섞인 목소리도 많았다.
이 사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한민국 대표부 경제참사관과 재정경제부 국고국장을 거쳐 국무조정실 심사평가조정관을 역임하고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지냈다.
19대 국회의원 총선 때 당시 문재인 민주당 대표의 제의를 받고 정치에 뛰어들었다. 민주당 소속으로 두 차례 총선에 출마했고 2017년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정책 자문을 담당한 이력이 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이 시장이 취임 후 1년 동안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면서 오랜 공직 경험에서 나온 전문성을 발휘해 서민 포용적 금융을 내세우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기조를 잘 뒷받침하고 있다는 평가를 공사 안팎에서 받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선임 이후의 공과와 별개로 앞으로 업무 수행에 문제가 없는지 경계를 늦추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팀장은 “공기업 사장은 선임된 이후 업무 수행을 잘 한다는 사회적 평가가 있더라도 언제든 정치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추고 임무를 수행하는지를 두고 엄격한 잣대로 감시하는 일을 거두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