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과 북한, 유엔군사령부가 만나 공동경비구역에서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국방부는 6일 “남북 군사당국과 유엔사는 ‘남북유엔사 3자협의체’ 제3차 회의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지역 ‘자유의 집’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3자는 10월26일과 27일 이틀 동안 실시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검증 결과를 서로 확인하고 평가한다.
공동경비구역 안의 상대측 지역에서의 남북 사이 합동 경비 근무, 감시장비 조정 및 정보 공유, 향후 공동경비구역 방문객들의 자유 왕래 등도 협의한다.
국방부는 이번 남과 북, 유엔사 대표단은 10월22일에 열린 제2차회의와 같은 인원이라고 밝혔다.
남한 측은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 과장(육군 대령) 등 3명, 유엔사 측은 버크 해밀턴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육군 대령) 등 3명, 북한 측은 엄창남 육군 대좌 등 3명이 참가했다.
북한군의 대좌는 한국군의 대령과 비슷한 계급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국방부는 6일 “남북 군사당국과 유엔사는 ‘남북유엔사 3자협의체’ 제3차 회의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지역 ‘자유의 집’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 국방부는 6일 “남북 군사당국과 유엔사는 ‘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 제3차회의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지역 ‘자유의 집’에서 연다”고 밝혔다. <국방부>
이번 회의에서 3자는 10월26일과 27일 이틀 동안 실시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검증 결과를 서로 확인하고 평가한다.
공동경비구역 안의 상대측 지역에서의 남북 사이 합동 경비 근무, 감시장비 조정 및 정보 공유, 향후 공동경비구역 방문객들의 자유 왕래 등도 협의한다.
국방부는 이번 남과 북, 유엔사 대표단은 10월22일에 열린 제2차회의와 같은 인원이라고 밝혔다.
남한 측은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 과장(육군 대령) 등 3명, 유엔사 측은 버크 해밀턴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육군 대령) 등 3명, 북한 측은 엄창남 육군 대좌 등 3명이 참가했다.
북한군의 대좌는 한국군의 대령과 비슷한 계급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