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과 관련해 말을 아낀 채 감리위원회의 판단을 기다리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IB) 육성을 놓고는 반대하지는 않지만 은행 수준의 감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변화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윤석헌 "삼성바이오로직스 논란은 금감원 나름대로 잘 대처하겠다"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윤 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 중간에 기자들과 만나 바이오젠의 삼성바이오에피스 콜옵션 행사와 관련해 “잘 준비해서 저희 나름대로 대처를 하겠다”며 “일단 그 부분은 감리위원회에서 보고 있으니 시기적으로 답변을 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젠이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을 ‘50%-1주’까지 매수하겠다는 내용의 콜옵션을 행사하겠다는 서신을 17일 받았다고 18일 공시했다. 

윤 원장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이 ‘금감원에 회사 명예실추에 따른 책임을 묻겠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그건 삼성바이오로직스 쪽의 생각이고 저희들은 나름대로 잘 대처해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사전 통지내용 공개는) 금감원 내부적으로 충분히 검토하고 금융위와 교감도 시도했던 것으로 보고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를 입증할 핵심증거가 있냐는 질문에 윤 원장은 “나름대로 충분히 이 문제를 검토했고 그 결과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한다”며 “감리위원회에 자료를 다 넘겼으니 그쪽에서 볼 것”이라고 답변했다.

윤 원장은 “감리위원들의 감리와 분석, 평가, 판단을 지켜봐야 한다”며 “증권선물위원회도 남아있으니 기다려달라”고 덧붙였다.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IB) 육성과 관련해서는 반대한 적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윤 원장은 “절대로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 육성을 반대한다고 말한 적이 없다”며 “육성방식이 간접금융 쪽으로 쏠려있어 되도록 직접금융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한 말이 잘못 전달됐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금융투자회사들이 간접금융에 관심을 두면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 규제 등에서 은행에 요구되는 수준에 가까운 감독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신한금융그룹 계열사의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해서는 빨리 정리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윤 원장은 “엄정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 문제가 계속 이어지는 것은 개인적으로 불만”이라며 “그냥 넘어가겠다는 것이 아니라 빨리 정리하고 금융감독 본연의 업무로 돌아가는 것이 저희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와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윤 원장은 “금감원장인 지금은 교수 시절처럼 자유롭게 얘기할 상황이 아니다”며 “금융위와 금감원이라는 법과 체제의 틀 안에서 저희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일차적 임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