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단일 바이오의약품 세계 최대생산 시설을 갖춘 제3공장을 준공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5년 11월 인천시 송도에 착공을 시작한 제3공장을 30일 준공했다고 밝혔다.
제3공장은 지상 4층 규모에 연면적 11만8618㎡(약 3만6천 평) 규모로 서울 월드컵경기장의 약 2배 규모다.
제3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18만ℓ로 단일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가운데 세계 최대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3공장 준공으로 앞서 준공한 1공장(3만ℓ)과 2공장(15만ℓ)을 합쳐 연간 36만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제3공장 준공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규모에서 스위스 론자(26만ℓ)와 독일 베링거인겔하임(24만ℓ)을 넘어 세계 1위에 오른다.
제3공장은 앞으로 1년 동안 생산 설비의 적절성 및 유효성 등을 검증하는 '밸리데이션' 작업을 거친 다음에 2년 동안 시제품을 생산한다. 정식 생산은 2020년 후반부터 시작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5년 11월 인천시 송도에 착공을 시작한 제3공장을 30일 준공했다고 밝혔다.

▲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
제3공장은 지상 4층 규모에 연면적 11만8618㎡(약 3만6천 평) 규모로 서울 월드컵경기장의 약 2배 규모다.
제3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18만ℓ로 단일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가운데 세계 최대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3공장 준공으로 앞서 준공한 1공장(3만ℓ)과 2공장(15만ℓ)을 합쳐 연간 36만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제3공장 준공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규모에서 스위스 론자(26만ℓ)와 독일 베링거인겔하임(24만ℓ)을 넘어 세계 1위에 오른다.
제3공장은 앞으로 1년 동안 생산 설비의 적절성 및 유효성 등을 검증하는 '밸리데이션' 작업을 거친 다음에 2년 동안 시제품을 생산한다. 정식 생산은 2020년 후반부터 시작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