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성장했다.
5분기 만에 최저치다. 그러나 정부가 소비를 주도하면서 내수경기는 회복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은 24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지난 분기보다 0.9%, 지난해 대비 3.2%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대비 3.2%의 성장률은 작년 2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최저치다.
그러나 경제성장률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올해 분기별 GDP 성장율은 1분기 0.9%에서 2분기 세월호 참사 여파로 0.5%로 떨어졌다가 3분기에 다시 0.9%로 회복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출은 줄고 내수는 늘었다.
3분기 수출은 지난분기보다 2.6% 감소했지만 민간소비는 1.1% 늘었다. 지난 2분기 민간소비는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이번에 반전하면서 2012년 3분기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올렸다.
건설투자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도 각각 2.9%, 0.6% 늘었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0.8% 감소했다.
3분기 내수가 늘어난 데는 정부도 기여했다. 지방선거와 세월호 등으로 연기된 지방정부 재정집행이 3분기에 이뤄지면서 정부소비가 2.2%로 크게 늘었다. 건설투자가 늘어난 것도 정부 부동산 정책 때문이라는 평가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소비가 크게 활성화됐다고 보기는 이르지만 세월호 영향과 충격에서 벗어났다고 본다”며 “내수회복은 2분기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에 성장세가 지속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