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커피 수입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 확산되면서 커피 소비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21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보면 올해 1~9월 조제품을 제외한 생두와 원두 등 커피 수입중량은 9만9372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만3693톤 보다 18.7% 증가했다.
이는 1990년 이후 가장 많은 양이 수입됐던 2011년 같은 기간의 9만2040톤을 이미 넘어 선 것으로 올해 커피 수입중량은 올해 말까지 최대기록을 세울 것으로 전망된다.
커피 수입국으로 베트남이 2만3686톤으로 가장 물량이 많았다. 브라질(1만7566톤), 콜롬비아(1만4043톤), 온두라스(9219톤), 페루(6782톤) 등이 뒤를 이었다.
증가세가 두드러진 나라는 콜롬비아로 올해 1~9월 수입된 커피가 지난 한해 수입량인 1만3581톤보다 많았다.
커피 수입금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2% 증가했다.
올해 수입된 커피는 약 3억8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3억1520만 달러보다 6천만 달러 가량 늘어났다. 올해는 생두가격이 2012년 이후 안정세를 보여 2011년 같은 기간 4억6190만 달러보다 수입금액이 적었다.
커피 수입량이 급증한 것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확산으로 커피 소비량이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관세율이 낮아져 미국산 원두 수입이 늘어난 것도 커피 수입량 증가폭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유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