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원, 문재인 정책에 맞춰 두산그룹 에너지사업 새 판 짤까  
▲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문재인 정부 정책에 맞춰서 두산그룹 에너지사업구조의 새판을 짤까.

5일 업계에 따르면 박정원 회장은 6월 말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동행하면서 7억9천만 달러의 투자를 결정했다.

이 가운데는 두산퓨얼셀아메리카를 통한 연료전지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구개발 투자 등이 포함돼 있다. 박 회장의 에너지신산업 확대의지가 나타난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두산그룹은 2015년 ESS 사업에 처음으로 진출했는데 지난해 미국 ESS 기술회사를 인수해 두산그리드텍을 설립했다. 지난해 2월 미국 텍사스 지역 변전소에 태양광 연계 ESS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인수 후 첫 수주 실적도 올렸다.

ESS는 전력을 비축했다가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 태양광과 풍력 등 전력생산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려는 정부도 ESS시장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올해 상반기 ESS 보급이 지난해보다 60% 증가했다며 연말까지 보급량은 지난해의 두 배 수준인 431㎿h로 연초 목표(270㎿h)를 크게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ESS산업이 에너지 신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특례요금제, 정부보조, 융자지원, 전용금융상품 출시 등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을 지속하기로 했다. 두산그룹의 ESS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두산그룹이 에너지신산업에 힘을 쏟는 것은 문재인 정부 들어 두산그룹의 에너지 사업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문재인 대통령이 탈원전 탈석탄 기조를 분명히 하면서 원전설비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이 문재인 정부 정책으로 올해부터 2019년까지 1조7천억 원 규모의 매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원전 발주가 없어질 경우 잠재적인 피해는 더욱 크다.

이 때문에 두산그룹 안팎에서 에너지사업구조를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특히 박정원 회장 취임 이후 새 성장동력으로 지목한 연료전지 등 에너지신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확대하고 저탄소·고효율 에너지구조로 전환한다는 청정·스마트에너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 두산그룹의 에너지사업도 이에 발맞춰나갈 가능성이 크게 여겨진다

특히 연료전지는 지난해 박 회장이 취임사에서 직접 언급할 정도로 공을 들이고 있는 사업이다. 박 회장은 공식석상에 잘 나타나지 않는 편이지만 5월 익산 연료전지공장 준공식에 직접 참석해 연료전지사업에 애착을 나타냈다.

박 회장은 최근 방미에서 미국 웰스파고은행과 연료전지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제휴도 맺었다. 이를 통해 미국시장에서 연료전지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중공업은 풍력사업도 점차 키워가고 있다. 풍력발전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대규모 설치를 약속한 공약이기도 하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해상풍력 시공·운영 경험을 보유해 해상풍력사업에 기대가 크다.

정부는 총 10조 원을 투자해 전북 서남해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1단계 실증단지 조성사업에 3㎿ 풍력발전기 20기를 단독으로 공급한다.

두산중공업은 5월 현대일렉트릭으로부터 5.5㎿급 해상풍력발전 기술을 인수했다. 대형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역량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신재생에너지와는 거리가 있지만 두산중공업의 가스터빈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가스터빈은 LNG발전소의 핵심 설비로 앞으로 전력발전믹스 변화로 LNG발전이 늘어날 경우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두산중공업은 국책과제로 고효율 가스터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9년까지 3257억 원의 투자계획을 세우고 있다. 박 회장은 미국 방문에서 가스터빈기업 ACT를 인수하기 위한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