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개인대개인)금융시장이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P2P금융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크라우드연구소가 8일 발표한 ‘5월 말 P2P금융 성장보고서’에 따르면 누적 P2P대출잔액은 5월 말 기준으로 1조2924억 원으로 집계됐다. 4월보다 1627억 원 늘었다.
![]() |
||
▲ P2P금융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크라우드연구소가 8일 발표한 ‘5월 말 P2P금융 성장보고서’에 따르면 누적 P2P대출 잔액은 5월 말 기준으로 1조2924억 원으로 집계됐다. |
금유위원회의 P2P대출 가이드라인이 5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앞두고 취급액 규모가 가파르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2월까지 한달 평균 취급액은 780억이었는데 3~5월에 한달 평균 취급액은 1584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커졌다.
크라우드연구소 관계자는 “P2P대출 가이드라인 적용을 앞두고 5월 한달 동안 각 업체는 전산시스템 적용과 회원유치에 집중했고 투자자는 개인한도가 적용되기 전 투자에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5월 말 기준으로 평균수익률은 13.93%로 조사됐다.
담보대출이 꾸준히 P2P대출의 증가세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P2P대출 가운데 담보대출 1조199억 원(79%), 신용대출 2725억 원(21%)으로 집계됐다.
담보대출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부동산담보대출 7780억 원, 동산담보대출 2419억 원으로 나타났다. 평균수익률은 부동산담보대출 14.53%, 동산담보대출 14.03%로 조사됐다.
신용대출의 경우 개인신용대출 1298억 원, 개인사업자신용대출 1046억 원, 법인사업자신용대출 381억 원인데 평균수익률은 개인신용대출 11.83%, 개인사업자신용대출 13.18%, 법인사업자신용대출 11.35%로 각각 집계됐다.
P2P대출 중개회사 수는 156곳으로 5월 한달 동안 8곳이 새로 세워졌다.
5월 말 기준으로 P2P대출 중개회사 51곳(32.7%)이 사업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고 있다.
P2P대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각 P2P대출 중개회사는 홈페이지에 P2P대출구조와 누적대출금액, 대출잔액, 연체율 등의 사업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크라우드연구소 관계자는 "각 업체들은 개인투자자의 투자한도가 정해진 데 대응해 다수의 개인회원 유치와 법인회원 유치를 위해 집중하고 있다"며 "P2P금융의 대중화를 위한 활동도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