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100마리 미만 가금류를 사육하는 소규모 농가를 대상으로 모두 사들인 뒤 도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7일 “이번 조류인를루엔자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였던 소규모 농가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며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전국의 소규모 농가를 대상으로 지자체 차원의 수매도태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부, 소규모 농가의 가금류 사들여 도살하는 방안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 소속 공무원이 7일 제주시 축산진흥원에서 제주재래닭 572마리의 예방적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다. <뉴시스>
수매도태란 정부기관이 각 농가로부터 닭이나 오리를 실거래가로 사들여 도살한 뒤 인근 경로당 등에 음식으로 제공하거나 정부차원에서 비축해놓는 것을 말한다.

사육규모가 100마리 미만인 소규모 농가는 각 지자체 예산으로 수매도태를 한다. 100마리 이상 대규모 농가의 경우 각 지자체를 통해 희망신청을 받은 뒤 농식품부 차원에서 수매도태를 진행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00마리 미만 가금류를 사육하는 전국의 농가는 4만7천여 곳이며 총 사육두수는 약 66만 수에 이른다. 농식품부는 100마리 미만 사육농가의 수매도태는 이미 진행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강제성은 없지만 조류인플루엔자 확산방지라는 명분이 확실하고 정부가 제값을 주고 사주는 것이기 때문에 일선 농가의 협조율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