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관용차 가운데 전기차 비율을 25%로 규정하기로 했다. 전기차 시장의 선점을 위해 자동차회사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에 관한 합리화 규정을 개정해 내년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10일 밝혔다.

  관용차의 전기차 비율 25%로 의무화  
▲ 미국 시카고에서 개막한 2014 시카고 오토쇼에서 기아자동차 쏘울 전기차를 소개하고 있다.
이 규정에관용차 가운데 25%를 전기차로 도입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관용차 가운데 경차 또는 하이브리드차 비중을 50%로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을 고쳐 이 가운데 절반인 25%는 전기차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기관별로 관용차 수요와 경제성 등을 고려해 세부사항을 조율하고 있다. 박기영 산업부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장은 “개정안이 확정되면 매년 전기차 500대 정도를 관용차로 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행되는 전기차 2500대 가운데 1천 대 가량을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은 아직 크지 않지만 이번 개정안 시행으로 전기차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은 780대였지만 올해는 1천 대 이상 판매가 예상된다. 2020년까지 전기차 시장은 100만 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시장을 놓고 자동차회사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시장점유율 58%로 1위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점유율을 60%로 올리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지난해 점유율 35.5%로 2위에 머물렀지만 올해 신형전기차인 쏘울EV를 내놓고 판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닛산도 글로벌 점유율 1위 모델인 리프를 제주도에서 출시하며 국내 전기차시장 공략에 나섰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차량 가격과 충전시설 등 전기차 관련 인프라 부족이 전기차 시장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전기차 보조금 지급과 함께 내년부터 전기차 맞춤 요금제를 내놓는 등 전기차 확대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 한국전력이 전기차 충전사업을 위한 특수목적 자회사 설립을 준비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인프라를 강화하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