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삼성전자 사업지원실을 두고 실제 운용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위원장은 25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에게 “사업지원실이라는 이름보다 실제로 어떻게 운용되는지가 중요하다”며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는지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비상설조직이던 사업지원태스크포스(TF)를 8년 만에 상설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개편하고, 박학규 사장을 사업지원실장으로 위촉했다.
이를 두고 과거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이 부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이 원장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한편, 위험을 내포하는 조직이 되지 않도록 경계하겠다고 강조해왔다.
또 최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임직원 개인정보가 유출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 위원장은 “정보 유출이 시스템상 문제인지 관리 과실인지는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하나로 말씀드릴 수 없다”며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위법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
이 위원장은 25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에게 “사업지원실이라는 이름보다 실제로 어떻게 운용되는지가 중요하다”며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는지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25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최근 비상설조직이던 사업지원태스크포스(TF)를 8년 만에 상설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개편하고, 박학규 사장을 사업지원실장으로 위촉했다.
이를 두고 과거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이 부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이 원장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한편, 위험을 내포하는 조직이 되지 않도록 경계하겠다고 강조해왔다.
또 최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임직원 개인정보가 유출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 위원장은 “정보 유출이 시스템상 문제인지 관리 과실인지는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하나로 말씀드릴 수 없다”며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위법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