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투자증권이 벨기에 부동산펀드 불완전판매와 관련해 일부 자율배상을 결정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한국투자증권에 접수된 벨기에펀드 관련 민원 883건 중 458건이 불완전판매로 확인돼 자율배상이 결정됐다.
전체 벨기에펀드 판매 건수 1897건의 24.1%에 달한다.
금액 기준으로는 총 설정 원본 583억 원 중 339억 원에 민원이 제기됐고, 모두 60억7천만 원이 자율배상 금액으로 결정됐다.
벨기에펀드는 벨기에 정부 기관이 사용하는 현지 오피스 건물의 장기 임차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2019년 6월 설정됐다. 5년 운용 뒤 임차권을 매각해 수익을 내는 구조였으나 금리인상기와 유럽 부동산 경기 악화 영향으로 전액 손실 처리됐다.
주요 판매사는 한국투자증권·KB국민은행·우리은행 등이다.
이 가운데 최대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은 △적합성 원칙 △설명의무 △부당권유 금지 위반 여부 등에 따라 기본 배상 비율을 최소 30%에서 60%로 설정했다.
여기에 금융 취약계층·투자상품 최초 신규 등 가산 요인과 동종상품 투자 경험·일임 여부 등 차감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대 80%까지 배상 비율을 조정했다.
KB국민은행 역시 자율배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재용 기자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한국투자증권에 접수된 벨기에펀드 관련 민원 883건 중 458건이 불완전판매로 확인돼 자율배상이 결정됐다.
▲ 한국투자증권이 벨기에 부동산펀드 불완전판매 458건을 대상으로 자율배상을 결정했다.
전체 벨기에펀드 판매 건수 1897건의 24.1%에 달한다.
금액 기준으로는 총 설정 원본 583억 원 중 339억 원에 민원이 제기됐고, 모두 60억7천만 원이 자율배상 금액으로 결정됐다.
벨기에펀드는 벨기에 정부 기관이 사용하는 현지 오피스 건물의 장기 임차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2019년 6월 설정됐다. 5년 운용 뒤 임차권을 매각해 수익을 내는 구조였으나 금리인상기와 유럽 부동산 경기 악화 영향으로 전액 손실 처리됐다.
주요 판매사는 한국투자증권·KB국민은행·우리은행 등이다.
이 가운데 최대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은 △적합성 원칙 △설명의무 △부당권유 금지 위반 여부 등에 따라 기본 배상 비율을 최소 30%에서 60%로 설정했다.
여기에 금융 취약계층·투자상품 최초 신규 등 가산 요인과 동종상품 투자 경험·일임 여부 등 차감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대 80%까지 배상 비율을 조정했다.
KB국민은행 역시 자율배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