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계엄을 언급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불가능하다'는 취지로 말한 뒤 무릎을 꿇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여 전 사령관은 2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작년 5∼6월 삼청동 안가에서 비상대권과 계엄을 언급했다"며 "(저는)불가능하다는 군의 실태를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전 방첩사령관 여인형 증언, "윤석열에 '계엄 불가능하다'하고 무릎 꿇었다"

▲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연합뉴스>


그는 당시 안가 저녁 자리와 관련해 "대공수사나 간첩수사 관련 이야기를 했고, 대통령은 나라 걱정 시국 걱정(에) 쉽지 않다는 공감도 했다"며 "대통령이 감정이 격해졌는데 헌법이 보장한 '대권 조치' 그런 말도 했다. 그 와중에 계엄도 나왔다"고 덧붙였다. 저녁 자리에는 윤 전 대통령 외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참석하고 있었다. 

여 전 사령관은 이어 "속으로 '통수권자이신데 계엄에 대해 어떤 상황이고 훈련이 준비돼있는지를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군이 전시든 평시든 어떤 상태인지를 일개 사령관이지만 정확히 말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가 혼란하면 군이 동원될 것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천만의 말씀이다. 계엄은 개전 초기에 발령되는데 육군 30만 중에 계엄에 동원될 사람은 없다"며 "전시도 그럴진대 평시에 무슨 계엄을 하나. 훈련해본 적 없고 한 번도 준비한 적이 없다. 아무리 헌법이 보장한 계엄이라고 해도 군은 불가능하다는 실태를 말씀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당시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무릎을 꿇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개 사령관이 무례한 발언을 했구나 하는 생각에 (무릎을 꿇었다). 술도 한두잔 들어가서 말한 것"이라며 "저에게도 충격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대통령이 계엄을 한다 안한다 구체적 말을 한 것은 아니다"며 "본인이 '이런 것도 있다'고 하길래 군의 상태를 말한 것이다. 제가 반대를 하고 그럴 계제도 아니고 정확하게 보고드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재판에서 '자신의 형사사건과 연관됐다'는 이유로 특검의 대부분 질문에 대해 답변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복원된 메모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도 진술을 거부했다. 해당 메모에는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여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장관의 지시를 받아 이 대통령 등 주요 인사 10여 명을 체포·구금하려 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계엄군 투입을 지시하고 윤 전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군사법원 재판에서 위증한 혐의도 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