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부터 2024년 사이 한국전력 직원 현황 및 억대 연봉자 수 <강득구 의원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24년 기준 한전 전체 직원 가운데 억대 연봉자 비율은 22.1%로 2020년(12.7%)보다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한전의 전체 직원 수는 2만3396 명(2020)에서 2만2561 명(2024)으로 감소했다. 신규채용 인원도 2020년 1550 명에서 2024년 601명으로 줄었다.
강득구 의원은 “직원 수는 줄고 억대 연봉자는 늘어난 것은 신입 채용 축소와 고액 연봉 구조의 고착화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짚었다.
문제는 한전의 재무상태가 악화일로라는 점이다.
한전의 부채 규모는 2020년 약 132조5천억 원에서 2024년 약 205조4천억 원(연결기준)으로 약 70조 원 증가했으며 별도 기준 부채 역시 같은 기간 약 60조 원에서 120조 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한전은 2021년 2분기부터 2023년까지 적자가 누적됐고 2024년에 비로소 흑자로 전환했으나 누적적자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한전은 매년 ‘경영평가 성과급’을 지급해왔다.
한전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8조를 근거로 “성과급은 흑자 여부와 무관하게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된다”고 설명했다.

▲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득구 페이스북>
그러나 강득구 의원은 “법적 근거가 있다고 해서 재무위기 상황에서도 고액 성과급과 연봉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국민의 상식과 동떨어져 있다”며 “공공기관의 성과보상은 공익성과 재무건전성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운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한전의 억대 연봉자 증가는 단순한 인건비 문제를 넘어 조직의 구조적 비효율과 세대 단절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공기업의 재무 악화가 결국 전기요금 인상 등 국민 부담으로 이어지는 만큼 한전은 내부 보수체계와 성과급 지급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고액 연봉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