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부동산 시장과 원/달러 환율 불안이 커지는 상황을 고려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됐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21일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2.50%로의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한다”며 “가계부채(부동산)와 환율, 양 측면에서 금융안정 불안 우려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2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정한다.
한국은행이 가지는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에 관한 걱정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던 8월보다 더 확대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가격과 전망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서다.
9월 서울 부동산 가격은 8월보다 0.58% 오르며 상승폭을 키웠다. 주택가격전망은 9월 기준 전국 112포인트, 서울 115포인트로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뒤 가장 높았다.
윤 연구원은 “다수의 지표들이 한국은행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며 “게다가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점을 고려했을 때 정책공조 차원에서도 인하를 단행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1420원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는 원/달러 환율도 한국은행의 걱정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혔다.
원/달러 환율은 20일 주간 종가(오후3시30분) 기준 1419.20원이다.
다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미국 관세협상이 마무리되면 원화 약세 흐름 등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여겨졌다.
윤 연구원은 “한국은행은 (10월 금통위에서) 관세협상 최종 서명 이후의 외환시장 점검 필요성을 강조할 것”이라며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라는) 선제적 움직임을 가져갈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21일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2.50%로의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한다”며 “가계부채(부동산)와 환율, 양 측면에서 금융안정 불안 우려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2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정한다.
한국은행이 가지는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에 관한 걱정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던 8월보다 더 확대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가격과 전망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서다.
9월 서울 부동산 가격은 8월보다 0.58% 오르며 상승폭을 키웠다. 주택가격전망은 9월 기준 전국 112포인트, 서울 115포인트로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뒤 가장 높았다.
윤 연구원은 “다수의 지표들이 한국은행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며 “게다가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점을 고려했을 때 정책공조 차원에서도 인하를 단행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1420원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는 원/달러 환율도 한국은행의 걱정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혔다.
원/달러 환율은 20일 주간 종가(오후3시30분) 기준 1419.20원이다.
다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미국 관세협상이 마무리되면 원화 약세 흐름 등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여겨졌다.
윤 연구원은 “한국은행은 (10월 금통위에서) 관세협상 최종 서명 이후의 외환시장 점검 필요성을 강조할 것”이라며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라는) 선제적 움직임을 가져갈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