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배터리셀과 소재 수출 11월8일부터 제한, "한국 제조사에 악재"

▲ 중국 안후이성 화이베이에 위치한 한 공장에서 4월26일 작업자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당국이 리튬이온 배터리셀과 흑연을 비롯한 소재 수출을 통제하는 새 정책을 발표했다. 

한국 배터리셀 제조사는 중국산 소재 의존도가 높아 이번 수출 통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상무부는 9일 일부 배터리와 양극재, 흑연 음극재를 수출하려면 11월8일부터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발표했다고 블룸버그가 10일 보도했다. 

중국은 올해 7월에도 배터리에 많이 사용하는 리튬 제련 기술에 수출통제를 시행했다. 
 
이번 통제 대상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와 삼원계(NCM) 배터리용 전구체,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으로 제작한 음극재까지 넓어졌다. 

배터리 기술과 제조 장비도 수출통제 적용 대상이라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금융기관 씨티그룹의 잭 샹 분석가는 블룸버그를 통해 “중국 정부가 배터리 공급망에서 기술 주도권을 유지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세계 배터리셀과 양극재, 음극재 시장 모두에서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 음극재 시장에서 중국 비중은 90%를 넘는다. 

중국이 높은 공급망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보니 미국과 통상 협상에도 배터리 수출통제가 주요 안건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한국 배터리 제조업체도 수출통제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중국 지역에서 배터리 소재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 소재 대부분은 중국 내에 안정적인 공급망을 형성했다”며 “이번 수출통제는 한국 배터리셀 제조사에 더욱 큰 어려움을 안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