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8월 기준 한국무역보험공사 보유 채권 등급 기준 및 잔액. <김원이 의원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소속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일 한국무역보험공사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국내외 보유채권 현황’을 보면 2025년 8월 기준 무보가 보유한 채권 4조5179억 원 가운데 3조1714억 원(70.2%)이 ‘회수 불능’ 혹은 ‘회수 실익 미미 등급(D~F)’으로 분류됐다.
반면 회수 가능성이 높은 A~B등급 채권은 4.5%인 2066억 원에 불과했고 특히 전액 회수가 가능한 A등급은 전체의 0.06%(28억7천만 원)에 그쳤다.
특히 국외채권 1조4842억원 가운데 96.7%인 1조4499억원이 C~F등급으로 분류돼 회수가 사실상 어려운 상태로 확인됐다. 회수불능 상태인 E·F등급 채권은 3647억원, 회수 가능성이 낮은 C·D등급은 1조852억원에 달했다.
국내채권 역시 3조336억 원 가운데 회수 실익이 낮은 C~E등급 채권이 1조3천603억원(44.6%)에 이르며 F등급(워크아웃·법정관리)이 1조4909억원(49.1%)으로 사실상 종결 처리 대상이었다.
고위험 채권 규모도 컸다. 올해 8월 기준 누적회수율 10% 미만인 국외채권은 채권잔액 9702억원, 관리종결액은 1조4298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100억 원 이상 국외 고액 채권 중 미회수 채권 잔액은 7336억 원, 관리종결액은 2261억 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무보는 2023년 7월부터 국외채권에 대해 타 추심기관에 재의뢰를 통한 교차검증 체계를 도입하고 국내채권도 관리채권 축소, 회생채권 집중관리, 전문가 확보 등 회수율 제고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전히 대규모 미회수 채권이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이 2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보유한 채권 가운데 70.3%가 회수가 불가능하거나 회수 실익이 미미한 채권이라고 밝혔다. <김원이 페이스북>
이처럼 채권회수 상황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보는 최근 6년 동안 136억 원의 성과급을 집행했다.
김원이 의원은 “무보는 수출기업을 지원하는 국가 보증기관임에도 보유 채권이 70% 이상이 회수불능 상태라는 것은 관리체계의 심각한 허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민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대형·장기 채권의 사전심사 강화, 채권 회수 가능성 정밀진단, 등급관리 고도화 등 제도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