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 스마트코티지 16평형 신모델이 서울 종로구 '열린송현 녹지광장'에 설치된 모습. < LG전자 >
LG전자는 8평(27㎡) 개방형 단층 모델(MONO Core 27), 16평(54㎡) 분리형 단층 모델(MONO Core 54) 등 모두 2종의 'LG 스마트코티지' 신모델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단층/2층형, 8평/14평/16평형 등 모두 6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11월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16평형 신모델 체험과 LG 스마트코티지 구매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신모델의 가장 큰 특징은 경제성 향상이다. 8평 모델의 가격은 1억 원 으로, 기존 Mono Plus 26 모델(2억 원) 대비 절반 수준이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주택 설계를 새롭게 했다.
기존 채광을 위해 층고를 높인 형태의 지붕을 평평하게 변경하는 한편, 주택을 구성하는 기본 모듈을 통일해 마치 블록처럼 이어 붙일 수 있도록 했다. 8평형 모델은 모듈 3개를 조립하고, 16평형 모델은 모듈 6개를 조립하는 식이다. 건축비 절감은 물론, 2층형 등 고객 필요에 맞춘 다양한 형태로의 확장에도 유리하다.
내부 구성도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 가전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신모델에는 △에어컨/냉장고/세탁기/인덕션 등 LG전자 AI가전 4종 △보일러 △스마트 스위치, 도어락 등 사물인터넷(IoT) 기기 4종 등이 설치된다.
LG 스마트코티지에 설치된 가전과 공조시스템, IoT 기기들은 LG 씽큐(ThinQ) 앱을 활용해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모듈 구조체와 창호, 배선, 욕실, 주방기구 등 자재의 70% 이상을 미리 제작한 뒤 배송되는 프리패브(Pre-fab) 방식으로 제작돼, 기존 철근콘크리트 공법 대비 공사 기간을 최대 5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최근 김제에 있는 LG 스마트코티지(MONO Plus 26)는 에너지 자립률 120% 이상을 달성해, 모듈러 주택을 포함한 모든 프리패브 방식의 건축물 중 국내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최고 등급인 'ZEB 플러스'를 획득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한 녹색건축물을 대상으로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 규모는 2030년 최대 4조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글로벌 모듈러 건축 시장이 2024년부터 5년 동안 연평균 6.2%씩 성장해 2029년 1408억 달러(약 194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향은 LG전자 가전(HS) 고객경험(CX)담당은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LG 스마트코티지로 더 많은 고객에게 내 집처럼 편안하게 휴식하며 삶을 즐기는 세컨드 하우스 문화를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