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생에너지 지원 축소 후폭풍, 미국 전기요금 상승률 '물가의 2배'

▲ 트럼프 정부 정책으로 미국 태양광 및 풍력발전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전기요금 상승 원인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사업장 전력을 조달하는 태양광 발전소 사진.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평균 전기요금 상승률이 전체 물가 상승률의 2배를 웃돈다는 통계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과 상반되는 것이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 증가와 미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지원 정책 폐지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CNN은 5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에서 1년만에 전기료를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말했다”며 “그러나 1년 동안 전기요금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 통계를 보면 7월 말 기준 미국 평균 전기요금은 1년 전과 비교해 5.5% 올랐다. 이는 전체 물가 상승률의 두 배를 넘는다.

CNN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전기요금 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투자 증가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이 배경으로 제시됐다. 데이터센터 특성상 전력 사용량이 높은 고사양 반도체를 다수 활용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데이터센터는 미국 전체 전력 사용량의 4.4%를 차지했는데 2028년에는 최대 12%에 이를 수 있다는 조사기관 버클리랩의 예측도 제시됐다.

미국에서 전력 발전 에너지원으로 비중이 높은 천연가스 가격 상승도 원인으로 꼽혔다.

CNN은 트럼프 정부와 공화당이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세금 혜택을 폐지한 점도 전기요금 부담을 높였다고 전했다.

다수의 프로젝트가 정부 지원 축소에 따라 중단되면서 전력 공급 안정성을 낮추고 요금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기관 리소스포더퓨처는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는 미국에서 저렴한 에너지 보급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전했다.

인공지능 인프라 확대와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 축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공약에 포함됐다. 그러나 이는 전기요금 인하 공약과 상충하는 결과를 내고 있다.

CNN은 “올해와 내년 미국 전기요금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수요와 공급 측면의 문제가 모두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