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위원회는 1일 기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대상 요양기관 가운데 3.3%만 참여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5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의료계와 보험업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법정회의체인 ‘실손전산시스템운영위원회(실손전산운영위)’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 참석자들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청구 전산화) 2단계 시행에 앞서 추진할 방향성을 논의했다.
지난해 10월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올해 10월25일부터 의원 및 약국(2단계, 약 9만6천 개)으로 확대 시행된다.
청구 전산화는 보험개발원이 만든 애플리케이션(앱) 실손24를 활용한 서비스다. 보험 소비자는 앱을 사용하면 병원의 진료비 증명 서류를 발급받지 않고 전송대행 기관을 통해 간편하게 실손의료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일 기준 모두 7801개 요양기관(병원 1085개, 보건소 3564개, 의원 1862개, 약국 1290개)이 청구 전산화에 참여하고 있다.
참여기관 개수 기준 1단계 참여율은 약 59.4%다.
2단계 참여 대상 요양기관인 의원·약국은 아직 참여 의사가 있는 곳만 선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단계 참여율은 약 3.3%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한의원 및 약국의 실손청구전산화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2단계 참여율도 증가하고 있다”며 “다만 아직 저조한 요양기관 참여율이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낮춰 이용자 확대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요양기관 참여를 적극 확대하고 청구 편의성을 높이고자 △소비자가 직접 요양기관에 참여를 요청할 수 있게 유도 △실손24로 보험금 청구 시 포인트 캐시백 △청구 전산화 참여 병원 및 약국에 신용보증기금 보증부 대출 보증료 5년 동안 0.2%포인트 감면 △참여 요양기관이 가입하는 일반보험(화재보험, 재산종합보험 등) 보험료 할인 등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보건복지부와 협업해 요양기관 등의 청구 전산화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추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