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매출 점유율을 39.5%까지 늘리며 선두를 공고히 했다. 삼성전자와 점유율 격차는 6%포인트 이상 벌어졌다.
5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 규모는 1분기보다 17.3% 증가한 309억1600만 달러(약 43조659억 원)으로 집계됐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D램 매출 기준 점유율은 1분기 36.9%에서 39.5%까지 늘었다. 매출 규모는 122억2600만 달러(약 17조308억 원)에 달했다.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34.4%에서 33.3%로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다. 매출 규모는 103억 달러(약 14조3400억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두 기업의 점유율 격차는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매출 격차는 19억 달러(약 2조64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됐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앞세워 ‘인공지능(AI) 붐’의 막대한 수혜를 누리고 있다. 이와 비교해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HBM 인증이 늦어지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1분기 SK하이닉스는 처음으로 D램 매출에서 삼성전자를 뛰어넘었는데, 이러한 기조는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역시 SK하이닉스가 2분기 D램 매출 점유율 38.7%를 기록해 선두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
5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 규모는 1분기보다 17.3% 증가한 309억1600만 달러(약 43조659억 원)으로 집계됐다.

▲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매출 기준 D램 점유율 격차가 6%포인트 이상 벌어졌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SK하이닉스의 2분기 D램 매출 기준 점유율은 1분기 36.9%에서 39.5%까지 늘었다. 매출 규모는 122억2600만 달러(약 17조308억 원)에 달했다.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34.4%에서 33.3%로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다. 매출 규모는 103억 달러(약 14조3400억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두 기업의 점유율 격차는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매출 격차는 19억 달러(약 2조64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됐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앞세워 ‘인공지능(AI) 붐’의 막대한 수혜를 누리고 있다. 이와 비교해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HBM 인증이 늦어지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1분기 SK하이닉스는 처음으로 D램 매출에서 삼성전자를 뛰어넘었는데, 이러한 기조는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역시 SK하이닉스가 2분기 D램 매출 점유율 38.7%를 기록해 선두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