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냉장고와 로봇청소기, 독일 기관서 'IoT 보안' 인증 획득

▲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ÜV Nord'로부터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을 받은 2024년형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스팀' 로봇청소기(왼쪽)와 2025년형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삼성전자>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인공지능(AI) 냉장고와 로봇청소기로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ÜV Nord'의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을 획득하며 차별화된 보안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26일 밝혔다.

인증받은 제품은 9형 'AI 홈'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2025년형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와 32형의 대형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2024년형·2025년형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다.

또 2024년형 '비스포크 AI 스팀' 로봇청소기와 올해 출시를 앞둔 2025년형 로봇청소기도 인증을 획득했다.

독일에 본사를 둔 사이버 보안 인증 기관 TÜV Nord는 제품 설계와 개발부터 유통과 운영까지 전 과정에 걸쳐 독립된 기준으로 엄격한 검증을 수행한다.

TÜV Nord의 IoT 보안 인증은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가 제정한 사이버 보안 국제 표준 'ETSI EN 303 645'를 근거로, 제품의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종합 평가해 부여된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삼성전자의 냉장고와 로봇청소기는 △데이터 암호화 △인증·접근 제어 △보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개인정보 보호 △취약점 관리 등 주요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 가전에 독자 보안 플랫폼인 삼성 녹스(Knox)를 적용해 사용자들이 다양한 AI 기능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 녹스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악성 소프트웨어나 위협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며, 사용자 명령이나 제품이 촬영한 모니터링 영상 등을 암호화하고 지정된 곳에서만 암호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해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특히 스크린을 탑재한 냉장고와 2025년형 로봇청소기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상호 보안 상태를 점검하는 '녹스 매트릭스'를 탑재했다.

녹스 매트릭스는 블록체인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상호 모니터링을 통해 외부의 공격을 차단하고, 보안 위협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 빠르게 상황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민감한 개인정보를 하드웨어 보안 칩에 별도로 저장하는 '녹스 볼트'까지 적용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한다.

문종승 삼성전자 생활가전(DA)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 가전에 강력한 보안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인증으로 삼성전자의 강력한 보안 기술력을 글로벌시장에 입증한 데 이어 앞으로도 고객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보안 강화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