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JB금융지주가 한 해 동안 진행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정리했다.
JB금융지주는 10일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그룹 차원 ESG 전략을 수립한 뒤 실제 계열사가 이행한 △기후리스크 통합 관리체계 구축 △RE100 기반 재생에너지 조달 이행 △사회공헌 성과 정량적 측정 △ESG평가 개선 등 비재무성과 전반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다.
JB금융지주는 ESG위원회 포함 이해관계자 설문을 진행해 그룹 ESG 내재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참여’, ‘금융소비자 보호’, ‘리스크 관리’ 등 4대 핵심 중대 이슈를 선정했다.
ESG 성과는 제3자 검증으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준에 따라 공시됐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계약을 체결하고 민간 RE100 시장을 겨냥한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씨앗봉사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기반 사회공헌 사업을 고도화했다. 2024년 그룹 핵심 사업의 사회적 임팩트는 약 47억7천만 원, 사회적투자수익률(SROI)은 1.8배로 측정됐다.
JB금융지주 관계자는 “JB금융지주는 ‘강소 금융그룹’이라는 정체성을 지키며 금융을 통한 사회적 변화를 선도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JB금융지주는 10일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JB금융지주가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 JB금융지주 >
이번 보고서는 그룹 차원 ESG 전략을 수립한 뒤 실제 계열사가 이행한 △기후리스크 통합 관리체계 구축 △RE100 기반 재생에너지 조달 이행 △사회공헌 성과 정량적 측정 △ESG평가 개선 등 비재무성과 전반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다.
JB금융지주는 ESG위원회 포함 이해관계자 설문을 진행해 그룹 ESG 내재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참여’, ‘금융소비자 보호’, ‘리스크 관리’ 등 4대 핵심 중대 이슈를 선정했다.
ESG 성과는 제3자 검증으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준에 따라 공시됐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계약을 체결하고 민간 RE100 시장을 겨냥한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씨앗봉사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기반 사회공헌 사업을 고도화했다. 2024년 그룹 핵심 사업의 사회적 임팩트는 약 47억7천만 원, 사회적투자수익률(SROI)은 1.8배로 측정됐다.
JB금융지주 관계자는 “JB금융지주는 ‘강소 금융그룹’이라는 정체성을 지키며 금융을 통한 사회적 변화를 선도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