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믿:음 2.0'이 한국어 거대언어모델(LLM) 성능 평가 플랫폼 '호랑이 리더보드'에서 파라미터 수 150억 개 미만의 국내 기업 개발 모델 가운데 종합 성능 1위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KT에 따르면 믿:음 2.0 베이스의 종합 점수는 0.7197(범용 성능 0.7004, 응답 정렬 성능 0.739)로 전 세계 동급 모델 중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KT 자체 AI 모델 '믿:음 2.0', 한국어 특화 LLM 성능 평가서 국내 1위

▲ 9일 KT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믿:음 2.0'이 한국어 거대언어모델(LLM) 성능 평가에서 종합 성능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KT >


호랑이 리더보드는 글로벌 머신러닝 기업 웨이트앤바이어스(W&B)가 주관하는 한국어 특화 LLM 평가 벤치마크다. 

실제 한국어 환경에서 범용 언어 이해력과 응답 안전성을 포함하는 정렬성 등 한국어 LLM의 실용적 역량을 다면적으로 평가한다.

KT 관계자는 "이번 성과로 믿:음 2.0이 국산 기술력 기반의 한국어 AI 모델로서 실질적 경쟁력을 갖추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했다"며 "KT는 믿:음 2.0을 개발하며 한국의 정신과 생활방식, 지식과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여 한국에 가장 잘 맞는 AI로 학습시켰다"고 말했다.

KT는 믿:음 2.0 기반의 맞춤형 B2B(기업 간 거래) 인공지능(AI) 솔루션을 산업 전반에 제공하고, 공공·금융·교육·법률 분야에서 실증을 추진한다. 

현재 공개된 버전에서 성능을 더 높인 믿:음 2.0 프로 공개도 준비하고 있다. 이어 믿:음 2.0의 추론, 멀티모달 기능 확장과 함께 국산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의 협력을 통한 AI 생태계 강화 등도 계획 중이다.

신동훈 KT Gen AI 랩장(CAIO) 상무는 "믿:음 2.0을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한국적 AI’의 시장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한국적 AI의 실용화와 기술 발전을 이끄는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