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폭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는 9일(현지시각)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금리인하는) 미국 의회와 차기 행정부가 계획하는 단기적 정책보다 생산성과 경제성장이 더 중요하다”며 “만약 경제 성장이 지속되고 우리가 앞으로 구조적으로 더 생산적인 경제 상황에 처한다면 아마도 금리 인하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시카리 총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지 여부를 놓고는는 현재 시점에서 판단하기 이르다고 언급했다.
연준이 7일 기준금리를 4.5∼4.75%로 기존보다 0.25%포인트 내린 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제외한 연준 고위 인사가 공개 발언을 한 것은 닐 카시카리 총재가 처음이다.
카시카리는 연준 내부에서 통화긴축을 선호하는 매파(강경파)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다만 카시카리는 올해는 물론 2025년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김대철 기자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는 9일(현지시각)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금리인하는) 미국 의회와 차기 행정부가 계획하는 단기적 정책보다 생산성과 경제성장이 더 중요하다”며 “만약 경제 성장이 지속되고 우리가 앞으로 구조적으로 더 생산적인 경제 상황에 처한다면 아마도 금리 인하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닐 카시카리 미국 연방준비제도 위원이 9일(현지시각) 미국 폭스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폭스뉴스 영상 갈무리>
카시카리 총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지 여부를 놓고는는 현재 시점에서 판단하기 이르다고 언급했다.
연준이 7일 기준금리를 4.5∼4.75%로 기존보다 0.25%포인트 내린 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제외한 연준 고위 인사가 공개 발언을 한 것은 닐 카시카리 총재가 처음이다.
카시카리는 연준 내부에서 통화긴축을 선호하는 매파(강경파)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다만 카시카리는 올해는 물론 2025년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