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23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전국상공회의소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의는 23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전국상공회의소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대한상의 차원에서 지난해 11월 공급망ESG지원센터를 신설해 다양한 활동을 해 오고 있는데 이런 기능이 지역에도 필요하다는 지방상의 요청에 따라 이를 전국 거점지역으로 확대하게 됐다”고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은 광역시와 산업단지의 상의 중심으로 부산, 대구, 광주, 충남 북부, 전주 등 전국 거점지역상의 26개가 지원센터 소재지로 결정됐다.
특히 대한상의는 이번 지원센터 출범을 계기로 중소·중견기업들이 유럽연합의 ESG 공급망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년부터 유럽연합에서는 공급망ESG실사법이 시행된다.
공급망ESG실사법은 유럽연합에 수출과 투자를 하는 기업 가운데 글로벌 매출 1억5천만 유로(약 2181억 원) 및 종업원수 500명 이상인 곳이 공급망 내 협력업체의 인권, 환경 실사를 통해 잠재적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를 지는 법이다.
대한상의는 “우리기업이 ESG 실사 대응을 제대로 못한다면 유럽연합으로부터 거래관계가 끊어지는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그러나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역량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를 고려해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는 △국내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ESG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의 대외협력 창구 △지방 중소기업 실무자 교육 등 전문인력 양성 △유럽연합 공급망 실사 관련 정책건의 창구 등의 역할을 한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경영여건이 녹록치 않은 가운데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들이 ESG 이슈에 잘 대비하고 공급망 ESG 실사에 따른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권역별 센터를 통해 다각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