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5대 은행(KB·신한·하나·농협·우리)의 올해 가계대출 목표이익률 수정이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목표이익률은 가산금리 구성항목으로 대출금리에 영향을 끼친다.
23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올해 가계대출 목표이익률을 1곳이 유지한 가운데 두 곳은 올리고 두 곳은 내렸다.
금감원이 내놓은 자료는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방식)과 가계 일반신용대출, 가계신용한도대출 등 모두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은행은 주담대 목표이익률을 1.64%에서 1.95%로, 일반신용대출은 1.85%에서 2.15%로, 신용한도대출은 1.85%에서 2.15%로 올려 잡았다.
NH농협은행도 목표이익률을 상향했지만 우리은행보다는 오름폭이 작았다. 농협은행은 주담대 목표이익률을 1.71%에서 1.95%로, 일반신용대출은 1.71%에서 1.95%로, 신용한도대출은 1.71%에서 1.95%로 올렸다.
하나은행은 목표이익률을 그대로 유지했다. 주담대는 1.85%,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모두 2.21%로 지난해와 같았다.
신한은행은 주담대는 1.35%에서 1.36%로 0.01%포인트 올렸지만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각각 1.63%와 1.39%로 낮췄다.
KB국민은행은 모두 내렸다. 주담대는 3.17%,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모두 3.73%로 낮췄다.
5대 은행의 목표이익률 수정이 달랐던 가운데 직접 절대적 수치를 곧바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은 목표이익률에 리스크프리미엄을 반영해 다른 은행들보다 비교적 크기 때문이다. 김환 기자
23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올해 가계대출 목표이익률을 1곳이 유지한 가운데 두 곳은 올리고 두 곳은 내렸다.

▲ 가산금리 구성항목으로 가계대출 금리에 영향을 끼치는 목표이익률이 올해 들어 5대 은행별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다.
금감원이 내놓은 자료는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방식)과 가계 일반신용대출, 가계신용한도대출 등 모두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은행은 주담대 목표이익률을 1.64%에서 1.95%로, 일반신용대출은 1.85%에서 2.15%로, 신용한도대출은 1.85%에서 2.15%로 올려 잡았다.
NH농협은행도 목표이익률을 상향했지만 우리은행보다는 오름폭이 작았다. 농협은행은 주담대 목표이익률을 1.71%에서 1.95%로, 일반신용대출은 1.71%에서 1.95%로, 신용한도대출은 1.71%에서 1.95%로 올렸다.
하나은행은 목표이익률을 그대로 유지했다. 주담대는 1.85%,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모두 2.21%로 지난해와 같았다.
신한은행은 주담대는 1.35%에서 1.36%로 0.01%포인트 올렸지만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각각 1.63%와 1.39%로 낮췄다.
KB국민은행은 모두 내렸다. 주담대는 3.17%,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은 모두 3.73%로 낮췄다.
5대 은행의 목표이익률 수정이 달랐던 가운데 직접 절대적 수치를 곧바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은 목표이익률에 리스크프리미엄을 반영해 다른 은행들보다 비교적 크기 때문이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