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CC가 1천억 원을 투입해 보온단열재 그라스울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KCC는 경북 김천시와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 투자 관련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KCC는 이번 협약으로 2023년 말까지 1천억 원 이상을 투자해 김천일반산업단지 KCC 김천공장에 그라스울 생산설비 2호기를 만든다. 김천시는 각종 행정문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KCC는 김천공장 증설을 완료하면 한 해 그라스울 약 2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기존 그라스울 생산능력은 김천공장과 문막공장을 합쳐 연 13만 톤 수준이었다.
KCC 관계자는 “2022년 문막공장 그라스울 생산라인 증설에 김천공장 증설을 통해 시장에 그라스울을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CC 그라스울은 규사 등 유리 원료 6종류를 고온에서 용융한 뒤 고속 회전력으로 섬유화해 일정 형태로 만든 무기질의 인조 광물 섬유단열재다. 부드러운 섬유를 집면해 단열 및 흡음성이 뛰어나고 무기질 성분이라 불에 타지 않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
KCC는 경북 김천시와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 투자 관련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 김홍겸 KCC 김천공장장(왼쪽부터), 김충섭 김천시장, 안용우 김천상공회의소 회장이 23일 김천시청에서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 투자 관련 양해각서(MOU)를 맺은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KCC >
KCC는 이번 협약으로 2023년 말까지 1천억 원 이상을 투자해 김천일반산업단지 KCC 김천공장에 그라스울 생산설비 2호기를 만든다. 김천시는 각종 행정문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KCC는 김천공장 증설을 완료하면 한 해 그라스울 약 2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기존 그라스울 생산능력은 김천공장과 문막공장을 합쳐 연 13만 톤 수준이었다.
KCC 관계자는 “2022년 문막공장 그라스울 생산라인 증설에 김천공장 증설을 통해 시장에 그라스울을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CC 그라스울은 규사 등 유리 원료 6종류를 고온에서 용융한 뒤 고속 회전력으로 섬유화해 일정 형태로 만든 무기질의 인조 광물 섬유단열재다. 부드러운 섬유를 집면해 단열 및 흡음성이 뛰어나고 무기질 성분이라 불에 타지 않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