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SDI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삼성SDI가 올해 전기차 업체들과 맺는 납품계약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미국 전기차 업체들과 거래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1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기존 89만2천 원에서 92만8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0일 삼성SDI 주가는 74만9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전기차의 견조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며 “2023년에도 중대형 배터리 ‘P5 5세대’를 중심으로 BMW, 아우디 등 프리미엄 전기차 업체에 납품하는 매출이 커질 것이다”고 바라봤다.
삼성SDI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3조9천억 원, 영업이익 2조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보다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13% 늘어나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삼성SDI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전기차를 중심으로 외형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미국 수주 모멘텀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SDI는 미국에 기반을 둔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외에도 원통형 배터리인 4680 납품을 다수 고객과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삼성SDI는 2023년에 새로운 고객사들에게서 수주를 얻어낼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맞춰 생산설비 확충 발표도 예상된다”며 “수주 모멘텀 중심 투자매력도 높은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김바램 기자
삼성SDI가 올해 전기차 업체들과 맺는 납품계약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미국 전기차 업체들과 거래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 11일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023년 삼성SDI가 전기차 업체들과 맺는 납품계약이 확대될 것이며 이 가운데 특히 미국 전기차 업체들과의 거래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연합뉴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1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기존 89만2천 원에서 92만8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0일 삼성SDI 주가는 74만9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전기차의 견조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며 “2023년에도 중대형 배터리 ‘P5 5세대’를 중심으로 BMW, 아우디 등 프리미엄 전기차 업체에 납품하는 매출이 커질 것이다”고 바라봤다.
삼성SDI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3조9천억 원, 영업이익 2조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보다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13% 늘어나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삼성SDI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전기차를 중심으로 외형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미국 수주 모멘텀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SDI는 미국에 기반을 둔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외에도 원통형 배터리인 4680 납품을 다수 고객과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삼성SDI는 2023년에 새로운 고객사들에게서 수주를 얻어낼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맞춰 생산설비 확충 발표도 예상된다”며 “수주 모멘텀 중심 투자매력도 높은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