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송주연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고 있는 만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역시 전반적으로 안정화되는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미국 노동부가 13일(현지시각) 발표한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상승률은 7.1%로 예상치인 7.3%를 밑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도 둔화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0%로 10월 상승률인 6.3%보다 내려갔다.
송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와 근원 소비자물가 모두 정점 통과를 확인했다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면서도 “내년에도 상반기 중에는 연준이 원하는 속도만큼 빠르게 물가가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미국 소비자물가는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전히 연준의 목표인 2%보다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예상보다 빠르게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연준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1월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 연준의 터미널레이트(최종 금리 수준) 예상치는 5.25%에서 5.0% 수준으로 낮아졌다.
송 연구원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바는 금리인상에 대한 방향 전환에 대한 시사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연준이 방향 전환을 언급할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된 기대와 향후 이벤트 결과에 따라 일시적 시장 변동성 확대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승리 기자
송주연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고 있는 만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역시 전반적으로 안정화되는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미국 노동부가 13일(현지시각) 발표한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상승률은 7.1%로 예상치인 7.3%를 밑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도 둔화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0%로 10월 상승률인 6.3%보다 내려갔다.
송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와 근원 소비자물가 모두 정점 통과를 확인했다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면서도 “내년에도 상반기 중에는 연준이 원하는 속도만큼 빠르게 물가가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미국 소비자물가는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전히 연준의 목표인 2%보다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예상보다 빠르게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연준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1월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 연준의 터미널레이트(최종 금리 수준) 예상치는 5.25%에서 5.0% 수준으로 낮아졌다.
송 연구원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바는 금리인상에 대한 방향 전환에 대한 시사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연준이 방향 전환을 언급할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된 기대와 향후 이벤트 결과에 따라 일시적 시장 변동성 확대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