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 시세가 2900만 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독일의 물가지표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지난주 3100만 원대에서 머무르던 비트코인 시세가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상화폐거래소 빗썸에서 21일 오전 11시39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단위)당 0.47% 오른 2938만6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에서 거래되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가상화폐 가운데 비트코인을 포함해 3개 가상화폐의 시세만 상승하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1BNB(바이낸스코인 단위)당 0.13% 높은 39만5천 원에, 다이는 1DAI(다이 단위)당 0.80% 오른 1385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반면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2.05% 하락한 220만2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밖에 리플(-0.09%), 에이다(-0.18%), 솔라나(-2.23%), 도지코인(-0.20%), 폴카닷(-1.37%), 아발란체(-0.38%) 등의 시세도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각으로 19일 발표된 독일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영향으로 보인다.
독일 연방통계청은 7월 PPI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32%)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관련 집계가 시작된 1949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세다. 6월과 비교해도 5.3%포인트 상승했다.
난방수요가 늘어나는 겨울철을 앞두고 천연가스 공급 문제도 대두됐다.
러시아가 유럽향 천연가스 공급을 크게 줄이며 에너지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독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독일의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5% 정도 급등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도 "암호화폐 가격 하락은 독일의 열악한 인플레이션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독일의 PPI가 발표된 뒤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며 비트코인 가격이 10% 이상 폭락했다.
한국시각으로 21일 비트코인 가격 상승은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김서아 기자
독일의 물가지표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지난주 3100만 원대에서 머무르던 비트코인 시세가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 독일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37% 급등했다는 소식에 가상화폐 시세가 지난주보다 하락했다.
가상화폐거래소 빗썸에서 21일 오전 11시39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단위)당 0.47% 오른 2938만6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에서 거래되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가상화폐 가운데 비트코인을 포함해 3개 가상화폐의 시세만 상승하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1BNB(바이낸스코인 단위)당 0.13% 높은 39만5천 원에, 다이는 1DAI(다이 단위)당 0.80% 오른 1385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반면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2.05% 하락한 220만2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밖에 리플(-0.09%), 에이다(-0.18%), 솔라나(-2.23%), 도지코인(-0.20%), 폴카닷(-1.37%), 아발란체(-0.38%) 등의 시세도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각으로 19일 발표된 독일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영향으로 보인다.
독일 연방통계청은 7월 PPI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32%)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관련 집계가 시작된 1949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세다. 6월과 비교해도 5.3%포인트 상승했다.
난방수요가 늘어나는 겨울철을 앞두고 천연가스 공급 문제도 대두됐다.
러시아가 유럽향 천연가스 공급을 크게 줄이며 에너지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독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독일의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5% 정도 급등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도 "암호화폐 가격 하락은 독일의 열악한 인플레이션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독일의 PPI가 발표된 뒤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며 비트코인 가격이 10% 이상 폭락했다.
한국시각으로 21일 비트코인 가격 상승은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