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전당대회 개최 시점을 올해 12월 즈음으로 바라봤다.
주호영 위원장은 21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이번 비대위는 대략 정기국회가 끝나고 나서 전당대회를 시작해야 한다는 데 많은 의원들이나 당원들이 공감을 하고 있다"며 "연말경인 12월에 전당대회를 시작하면 1월 말이나 2월 경에 아마 새 지도부가 뽑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전 대표의 전당대회 재출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가처분이 어떻게 되느냐에도 영향이 있고 이 전 대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런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날짜를 정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이 전 대표의 자격정지가 풀리는 것과 물려서 또 논란이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비상대책위원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으로 봤다.
주 위원장은 "가처분 결과가 기각될 거란 확신을 갖고 있다"며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보지만 설사 절차적 문제로 가처분 결과가 인용되더라도 절차를 고쳐서 하면 되기 때문에 가처분 결과가 그렇게 많이 영향을 못 미칠 거라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를 하는 게 맞냐, 소집 절차가 맞았느냐, 두 번째는비대위 출범을 ARS로 의사를 물었는데 그게 허용되느냐는 것이 쟁점"이라며 "사퇴한 최고위원들이 왔기 때문에 무효라는 주장이 있지만 그것도 저희들 나름대로 논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취임 100일을 넘긴 윤석열 정부를 향해선 아쉬운 점을 내비쳤다.
주 위원장은 "다음 기자회견을 할 때는 객관적 성과가 있는 것을 자랑할 수 있는 그런 성과를 좀 냈으면 좋겠다"며 "검찰 출신을 너무 많이 쓴다거나 아는 사람 위주로 쓴다는 것도 한번 돌아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권 초기에 비서진들 팀워크가 아직 잘 구성이 못 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비서실장, 홍보수석, 정무수석의 팀워크가 완전히 가동되고 있지 않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당과 대통령실 사이 소통에 대해서도 "참 아쉬운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주 위원장은 "5세 아동 취학 문제는 당과 상의만 했으면 그런 실수가 나오지 않는다"며 "중요한 정책이 여당 정책위와 사전 협의 없이 발표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를 요구하고 있어 앞으론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주호영 위원장은 21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이번 비대위는 대략 정기국회가 끝나고 나서 전당대회를 시작해야 한다는 데 많은 의원들이나 당원들이 공감을 하고 있다"며 "연말경인 12월에 전당대회를 시작하면 1월 말이나 2월 경에 아마 새 지도부가 뽑힐 것"이라고 말했다.

▲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8월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준석 전 대표의 전당대회 재출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가처분이 어떻게 되느냐에도 영향이 있고 이 전 대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런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날짜를 정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이 전 대표의 자격정지가 풀리는 것과 물려서 또 논란이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비상대책위원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으로 봤다.
주 위원장은 "가처분 결과가 기각될 거란 확신을 갖고 있다"며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보지만 설사 절차적 문제로 가처분 결과가 인용되더라도 절차를 고쳐서 하면 되기 때문에 가처분 결과가 그렇게 많이 영향을 못 미칠 거라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를 하는 게 맞냐, 소집 절차가 맞았느냐, 두 번째는비대위 출범을 ARS로 의사를 물었는데 그게 허용되느냐는 것이 쟁점"이라며 "사퇴한 최고위원들이 왔기 때문에 무효라는 주장이 있지만 그것도 저희들 나름대로 논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취임 100일을 넘긴 윤석열 정부를 향해선 아쉬운 점을 내비쳤다.
주 위원장은 "다음 기자회견을 할 때는 객관적 성과가 있는 것을 자랑할 수 있는 그런 성과를 좀 냈으면 좋겠다"며 "검찰 출신을 너무 많이 쓴다거나 아는 사람 위주로 쓴다는 것도 한번 돌아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권 초기에 비서진들 팀워크가 아직 잘 구성이 못 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비서실장, 홍보수석, 정무수석의 팀워크가 완전히 가동되고 있지 않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당과 대통령실 사이 소통에 대해서도 "참 아쉬운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주 위원장은 "5세 아동 취학 문제는 당과 상의만 했으면 그런 실수가 나오지 않는다"며 "중요한 정책이 여당 정책위와 사전 협의 없이 발표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를 요구하고 있어 앞으론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