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제일제당이 K-푸드의 해외사업 성장과 바이오부문의 업황 호조에 힘입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CJ제일제당(CJ대한통운 실적 제외)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5942억 원, 영업이익 3934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2.3%, 영업이익은 3.6% 늘어난 것이다.
CJ대한통운을 포함한 2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 7조5166억 원, 영업이익 5043억 원으로 잠정집계됐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9.1%, 영업이익은 7.4%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실적을 살펴보면 식품사업부문은 올해 2분기 매출 2조6063억 원, 영업이익 1677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7.8%, 영업이익은 29.1% 늘어난 수치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해외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매출이 늘어났다”며 “특히 해외식품 사업이 성장과 수익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2분기 식품사업부문의 매출을 살펴보면 국내 1조3896억 원, 해외 1조2167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매출은 16%, 해외매출은 20% 각각 늘어난 것이다.
전체 식품매출에서 해외식품 사업이 치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고 수준인 47%에 달했다.
해외식품 사업은 지역별로 고른 성장을 보이기도 했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한 지역별 식품사업 매출의 증가율을 살펴보면 미국 21%, 유럽 28%, 중국 32%, 일본 16% 등이다.
CJ제일제당은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에서 글로벌전략제품(GSP)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확장 전략을 펼쳐 매출이 늘고 비용구조 효율화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3197억 원, 영업이익 2223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43.8%, 영업이익은 14.6% 늘어난 것이다.
바이오사업부문이 분기 기준 영업이익 2천억 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J제일제당은 “아미노산의 시황이 좋은 북미, 남미,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했다”며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우수 입지를 바탕으로 시장 지위를 한층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제품과 솔루션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별화된 '기술마케팅'으로 고수익 스페셜티 제품의 신규 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피드앤케어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682억 원, 영업이익 34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6.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93.9% 감소한 것이다.
CJ제일제당은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하락했다”며 “다만 2분기 말부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사업국가의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향후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CJ제일제당은 하반기 원가절감과 핵심제품의 성장에 집중하기로 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 하락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식품사업부문은 B2B(기업 사이 거래), 편의점, 온라인 등 성장하고 있는 유통 채널에 역량을 집중하고 식물성 식품(Plant-based) 육성에 속도를 낸다.
바이오사업 부문은 5월부터 생산을 시작한 해양생분해플라스틱(PHA) 소재를 비롯한 미래 신수종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미래 준비를 위한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 신사업 강화, 연국개발 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CJ제일제당(CJ대한통운 실적 제외)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5942억 원, 영업이익 3934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2.3%, 영업이익은 3.6% 늘어난 것이다.

▲ CJ제일제당이 식품사업부문의 해외성장과 바이오부문 업황 호조에 힘입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CJ제일제당 본사. < CJ제일제당 >
CJ대한통운을 포함한 2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 7조5166억 원, 영업이익 5043억 원으로 잠정집계됐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9.1%, 영업이익은 7.4%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실적을 살펴보면 식품사업부문은 올해 2분기 매출 2조6063억 원, 영업이익 1677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7.8%, 영업이익은 29.1% 늘어난 수치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해외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매출이 늘어났다”며 “특히 해외식품 사업이 성장과 수익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2분기 식품사업부문의 매출을 살펴보면 국내 1조3896억 원, 해외 1조2167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매출은 16%, 해외매출은 20% 각각 늘어난 것이다.
전체 식품매출에서 해외식품 사업이 치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고 수준인 47%에 달했다.
해외식품 사업은 지역별로 고른 성장을 보이기도 했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한 지역별 식품사업 매출의 증가율을 살펴보면 미국 21%, 유럽 28%, 중국 32%, 일본 16% 등이다.
CJ제일제당은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에서 글로벌전략제품(GSP)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확장 전략을 펼쳐 매출이 늘고 비용구조 효율화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3197억 원, 영업이익 2223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43.8%, 영업이익은 14.6% 늘어난 것이다.
바이오사업부문이 분기 기준 영업이익 2천억 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J제일제당은 “아미노산의 시황이 좋은 북미, 남미,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했다”며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우수 입지를 바탕으로 시장 지위를 한층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제품과 솔루션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별화된 '기술마케팅'으로 고수익 스페셜티 제품의 신규 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피드앤케어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682억 원, 영업이익 34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6.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93.9% 감소한 것이다.
CJ제일제당은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하락했다”며 “다만 2분기 말부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사업국가의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향후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CJ제일제당은 하반기 원가절감과 핵심제품의 성장에 집중하기로 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 하락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식품사업부문은 B2B(기업 사이 거래), 편의점, 온라인 등 성장하고 있는 유통 채널에 역량을 집중하고 식물성 식품(Plant-based) 육성에 속도를 낸다.
바이오사업 부문은 5월부터 생산을 시작한 해양생분해플라스틱(PHA) 소재를 비롯한 미래 신수종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미래 준비를 위한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 신사업 강화, 연국개발 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