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의힘이 의원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로 당 체제를 전환하기로 뜻을 모았다.
향후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열고 비대위로 전환하는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양금희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가 끝난 뒤 “최고위원들의 사퇴로 당이 비상 상황인지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았다”며 “당이 비상상황이라는 의견에 극소수(1명)를 제외하고 모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헌) 96조에 따르면 비상 상황일 때 비대위를 가동할 수 있다”며 “지금 상황이 비상상황인지에 관해 의원들의 의중을 모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당헌 제96조 (비상대책위원회) 제1항은 당 대표가 궐위되거나 최고위원회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당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안정적 당 운영과 비상상황의 해소를 위해 비대위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날 의원총회에는 국민의힘 전체 의원 115명 가운데 89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의원총회에서 곧바로 비대위 전환을 결정할 수는 없다. 양 원내대변인은 "비대위 체제 전환 결정 권한은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 있다"며 "추후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통해 당헌당규를 해석하고 비대위원장을 선출·추인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31일 당 대표 직무대행을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내며 비대위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조수진, 윤영석 최고위원이 최고위원 직에서 물러났으며 성일종 정책위원장도 사퇴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용태, 정미경 최고위원 등이 최고위원 직 사퇴의사가 없음을 밝히며 비대위 전환에 반발하고 있다. 서병수 전국위원장보 비대위에 부정적 시각을 내비쳐 비대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반발이 예상된다. 김대철 기자
향후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열고 비대위로 전환하는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양금희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가 끝난 뒤 “최고위원들의 사퇴로 당이 비상 상황인지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았다”며 “당이 비상상황이라는 의견에 극소수(1명)를 제외하고 모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당헌) 96조에 따르면 비상 상황일 때 비대위를 가동할 수 있다”며 “지금 상황이 비상상황인지에 관해 의원들의 의중을 모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당헌 제96조 (비상대책위원회) 제1항은 당 대표가 궐위되거나 최고위원회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당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안정적 당 운영과 비상상황의 해소를 위해 비대위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날 의원총회에는 국민의힘 전체 의원 115명 가운데 89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의원총회에서 곧바로 비대위 전환을 결정할 수는 없다. 양 원내대변인은 "비대위 체제 전환 결정 권한은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 있다"며 "추후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통해 당헌당규를 해석하고 비대위원장을 선출·추인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31일 당 대표 직무대행을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내며 비대위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조수진, 윤영석 최고위원이 최고위원 직에서 물러났으며 성일종 정책위원장도 사퇴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용태, 정미경 최고위원 등이 최고위원 직 사퇴의사가 없음을 밝히며 비대위 전환에 반발하고 있다. 서병수 전국위원장보 비대위에 부정적 시각을 내비쳐 비대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반발이 예상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