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건설이 창사 이래 최대 수준의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매출을 계속 키워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5일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5만5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2일 현대건설 주가는 3만9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25일 “현대건설은 수주잔고 90조 원을 넘어서며 창사 이래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며 “뚜렷한 매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이다”고 바라봤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에 신규수주 21조163억 원을 따냈다. 이에 따라 수주잔고도 전년 말보다 15.2% 늘어난 91조6985억 원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4.6년치 일감이다.
현대건설은 국내 주택사업뿐 아니라 해외 수주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은 하반기 필리핀 남북철도(1조5천억 원)을 비록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 등 중동 플랜트 및 싱가포르 병원 등의 수주가 기대된다”며 “국내 주택 분양실적도 올해 목표치의 50%를 넘게 달성해 실적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별도기준으로 올해 3만 세대 분양을 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상반기에만 1만5777세대 분양을 마쳤다.
이와 별도로 원전사업을 통한 성장성 확보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글로벌 원전사업 협약 및 홀텍사와 원전해체 계약 체결 등의 행보는 성장성 확보에 긍정적 요인이다”고 봤다.
현대건설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0조8187억 원, 영업이익 7885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15.2%, 영업이익은 4.6% 늘어나는 것이다. 류수재 기자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5일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5만5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 현대건설이 창사 이래 최고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사진은 서울 현대건설 사옥.
직전 거래일인 22일 현대건설 주가는 3만9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25일 “현대건설은 수주잔고 90조 원을 넘어서며 창사 이래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며 “뚜렷한 매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이다”고 바라봤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에 신규수주 21조163억 원을 따냈다. 이에 따라 수주잔고도 전년 말보다 15.2% 늘어난 91조6985억 원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4.6년치 일감이다.
현대건설은 국내 주택사업뿐 아니라 해외 수주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은 하반기 필리핀 남북철도(1조5천억 원)을 비록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 등 중동 플랜트 및 싱가포르 병원 등의 수주가 기대된다”며 “국내 주택 분양실적도 올해 목표치의 50%를 넘게 달성해 실적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별도기준으로 올해 3만 세대 분양을 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상반기에만 1만5777세대 분양을 마쳤다.
이와 별도로 원전사업을 통한 성장성 확보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글로벌 원전사업 협약 및 홀텍사와 원전해체 계약 체결 등의 행보는 성장성 확보에 긍정적 요인이다”고 봤다.
현대건설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0조8187억 원, 영업이익 7885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15.2%, 영업이익은 4.6% 늘어나는 것이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