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팜 주식 투자의견이 매수로 유지됐다.
SK바이오팜은 미국에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 판매를 늘려갈 것으로 예상됐다.
박재경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3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 12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0일 SK바이오팜 주가는 8만6300원에 장을 마감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해 현지에서 직접 세노바메이트(제품이름 엑스코프리)를 판매하고 있다.
2022년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은 전년보다 111.9% 급증해 165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 미국에서 코로나19 관련 방역조치가 해제되면서 대면 영업활동이 활발해져 세노바메이트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미국의 세노바메이트 3월 처방수(TRx)는 전월보다 18% 증가하며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2~3분기 처방수를 통해 대면 영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SK바이오팜은 올해 수익성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SK바이오팜은 2022년 연결기준 매출 2322억 원, 영업손실 934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실적과 비교해 매출은 44.5% 줄고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전환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후기 단계 후보물질 도입, 상업 단계 의약품의 판권 계약을 통해 SK바이오팜이 구축한 미국 영업조직의 효율화가 이루어진다면 기대보다 빠른 흑자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한솔 기자
SK바이오팜은 미국에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 판매를 늘려갈 것으로 예상됐다.

▲ SK바이오팜 로고.
박재경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3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 12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0일 SK바이오팜 주가는 8만6300원에 장을 마감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해 현지에서 직접 세노바메이트(제품이름 엑스코프리)를 판매하고 있다.
2022년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은 전년보다 111.9% 급증해 165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 미국에서 코로나19 관련 방역조치가 해제되면서 대면 영업활동이 활발해져 세노바메이트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미국의 세노바메이트 3월 처방수(TRx)는 전월보다 18% 증가하며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2~3분기 처방수를 통해 대면 영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SK바이오팜은 올해 수익성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SK바이오팜은 2022년 연결기준 매출 2322억 원, 영업손실 934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실적과 비교해 매출은 44.5% 줄고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전환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후기 단계 후보물질 도입, 상업 단계 의약품의 판권 계약을 통해 SK바이오팜이 구축한 미국 영업조직의 효율화가 이루어진다면 기대보다 빠른 흑자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