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노스메드가 다계통위축증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2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카이노스메드는 희귀 퇴행성 뇌질환(CNS)인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 후보물질인 ‘KM-819’의 임상2상 시험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다계통위축증은 파킨슨병과 유사한 운동장애질환이다. 현재 증상완화제나 치료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임상을 서울아산병원에서 다계통위축증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을 세웠다.
카이노스메드는 KM-819가 앞서 진행한 전임상(동물시험), 임상1상 시험에서 높은 안전성을 보여 임상2상 시험에도 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다계통위축증은 희귀 퇴행성 뇌질환으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며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 환자와 가족들에게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
카이노스메드는 희귀 퇴행성 뇌질환(CNS)인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 후보물질인 ‘KM-819’의 임상2상 시험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 이기섭 카이노스메드 대표.
다계통위축증은 파킨슨병과 유사한 운동장애질환이다. 현재 증상완화제나 치료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임상을 서울아산병원에서 다계통위축증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을 세웠다.
카이노스메드는 KM-819가 앞서 진행한 전임상(동물시험), 임상1상 시험에서 높은 안전성을 보여 임상2상 시험에도 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다계통위축증은 희귀 퇴행성 뇌질환으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며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 환자와 가족들에게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