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철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이 국제학회 상을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김성철 사장이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로부터 2021년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시상식은 5월17일부터 시작되는 ‘SID 디스플레이 위크’ 행사기간에 온라인으로 열린다.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브라운관TV를 발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 박사를 기념해 1987년부터 상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 상은 디스플레이분야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공로상이라고 삼성디스플레이는 설명했다.
김 사장은 저온 폴리실리콘(LTPS)에 기반을 둔 고해상도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대량 양산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터치 내장형 올레드를 통한 패널의 슬림화, 플렉서블 올레드 개발, 초박형 유리(UTG)를 적용한 폴더블 올레드 양산 등을 김 사장의 대표적 성과로 꼽핬다.
김 사장은 1961년 태어나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올레드사업부 개발실장, 연구소장 등을 거쳐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역임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삼성디스플레이는 김성철 사장이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로부터 2021년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 김성철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
시상식은 5월17일부터 시작되는 ‘SID 디스플레이 위크’ 행사기간에 온라인으로 열린다.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브라운관TV를 발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 박사를 기념해 1987년부터 상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 상은 디스플레이분야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공로상이라고 삼성디스플레이는 설명했다.
김 사장은 저온 폴리실리콘(LTPS)에 기반을 둔 고해상도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대량 양산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터치 내장형 올레드를 통한 패널의 슬림화, 플렉서블 올레드 개발, 초박형 유리(UTG)를 적용한 폴더블 올레드 양산 등을 김 사장의 대표적 성과로 꼽핬다.
김 사장은 1961년 태어나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올레드사업부 개발실장, 연구소장 등을 거쳐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역임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