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자동차보험 합산비율과 영업손익. <금융감독원>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12개 손해보험회사의 자동차보험 영업손익은 2019년 적자 1조6445억 원에서 2020년 적자 3799억 원으로 개선됐다.
손해율과 사업비율을 더한 합산비율은 102.2%로 집계됐다. 합산비율이 100%를 넘으면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코로나19로 사고율이 감소해 2019년 110.7%보다 8.5%포인트 감소했다.
사고율은 2018년 18.8%, 2019년 17.8%, 2020년 15.5%로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시장 규모는 원수보험료 기준 19조6천억 원으로 2019년 17조5천억 원보다 11.6%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 보험료가 3.4% 인상되고 자동차보험 가입 수도 2298만 대에서 2364만 대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전체 손해보험 가운데 자동차보험 비중은 19.6%로 2019년 18.4%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지급된 자동차보험금은 모두 14조4천억 원이다. 물적보상 54%(7조8천억 원), 인적보상 43%(6조3천억 원), 기타 3%(4천억 원)으로 구성됐다.
인적보상 관련 주요 보험금 항목 가운데 향후치료비와 의료비가 각 3.0%, 12.1% 올랐다. 의료비 가운데 한방의료비가 8849억 원으로 2019년보다 26.7% 증가했다. 양방의료비는 7968억 원으로 전년보다 0.6% 감소했다.
경상환자수는 159만 명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환자 수가 2019년보다 6.8% 줄었지만 1인당 보험금은 12.1% 늘어난 183만 원으로 집계됐다. 중상환자 수(11만 명)와 1인당 보험금(1424만 원)도 모두 2019년보다 각각 4.1%, 2.6% 증가했다.
물적보상은 사고율 감소로 도장비, 정비공임, 부품비 등 모든 보험금이 전년보다 줄어들었다.
금감원은 “코로나19가 진정되면 자동차운행량이 다시 증가해 합산비율 상승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라며 “합산비율 추이 등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보험료 인상요인이 없도록 보험금 누수방지 등을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상환자의 치료비 보상방식을 조정하고 경상환자에게 진단서 추가 제출 의무를 부여하는 등 보험금 누수 방지방안을 추진한다.
물적보상은 보험료에 미치는 영향이 큰 부품비 등 원가요소를 선별해 원가지수를 산출·공표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