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이사가 이중항체 면역항암 플랫폼의 기술이전 성과를 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벌써 5년째 영업적자를 내고 있어 기술이전의 성과가 절실하다.
1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가 4월 열릴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이중항체 면역항암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와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501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글로벌 제약사와 직접 만날 일은 없지만 해외학회는 주목도가 높아 에이비엘바이오에게는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행사에서 발표 내용이 인상적이면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논의로 발전하는 일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부터 신약 후보물질뿐 아니라 ‘이중항체 기술 플랫폼’ 자체를 기술수출하는 데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 대표는 최근 이중항체 기술의 유효성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기술이전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본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중항체 기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플랫폼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 더 수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2015년부터 매년 2건 이상의 이중항체 관련 기술수출 계약이 이뤄지고 있고 각 계약의 규모는 평균 3억 달러(약 3350억 원)에 이른다.
지난해에는 세계 15곳의 글로벌 제약사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플랫폼인 그랩바디-B에 직접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기술수출 논의가 상당히 진척되기도 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11일 미국암연구학회 참여를 알리며 “그랩바디-T를 통한 플랫폼 기술의 확대 및 기술이전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암세포와 T세포(면역세포)에 동시에 작용하는 기술(그랩바디-T) △면역관문과 T세포의 이중으로 작용하는 기술(그랩바디-I) △항체의 뇌혈액관문(BBB) 투과도를 높이는 기술(그랩바디-B) 등 모두 3개의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대표는 기술수출 성과를 통한 적자 탈출이 절실하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16년 창업 뒤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초기 임상 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해 빠르게 기술이전을 추진하는 전략으로 2018년까지 1조4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를 낼 수 있었지만 그 뒤로는 좀처럼 기술이전 계약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대표가 이중항체 기술 플랫폼 기술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20년에는 개별기준으로 매출 38억 원, 영업손실 638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0.2% 줄고 영업손실은 57.9% 증가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에이비엘바이오는 벌써 5년째 영업적자를 내고 있어 기술이전의 성과가 절실하다.

▲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이사.
1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가 4월 열릴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이중항체 면역항암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와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501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글로벌 제약사와 직접 만날 일은 없지만 해외학회는 주목도가 높아 에이비엘바이오에게는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행사에서 발표 내용이 인상적이면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논의로 발전하는 일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부터 신약 후보물질뿐 아니라 ‘이중항체 기술 플랫폼’ 자체를 기술수출하는 데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 대표는 최근 이중항체 기술의 유효성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기술이전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본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중항체 기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플랫폼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 더 수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2015년부터 매년 2건 이상의 이중항체 관련 기술수출 계약이 이뤄지고 있고 각 계약의 규모는 평균 3억 달러(약 3350억 원)에 이른다.
지난해에는 세계 15곳의 글로벌 제약사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플랫폼인 그랩바디-B에 직접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기술수출 논의가 상당히 진척되기도 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11일 미국암연구학회 참여를 알리며 “그랩바디-T를 통한 플랫폼 기술의 확대 및 기술이전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암세포와 T세포(면역세포)에 동시에 작용하는 기술(그랩바디-T) △면역관문과 T세포의 이중으로 작용하는 기술(그랩바디-I) △항체의 뇌혈액관문(BBB) 투과도를 높이는 기술(그랩바디-B) 등 모두 3개의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대표는 기술수출 성과를 통한 적자 탈출이 절실하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16년 창업 뒤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초기 임상 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해 빠르게 기술이전을 추진하는 전략으로 2018년까지 1조4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를 낼 수 있었지만 그 뒤로는 좀처럼 기술이전 계약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대표가 이중항체 기술 플랫폼 기술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20년에는 개별기준으로 매출 38억 원, 영업손실 638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0.2% 줄고 영업손실은 57.9% 증가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