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의 신제품이 국립전파연구원의 '전파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다.
하만 산하의 오디오 브랜드 JBL이 스포츠용 무선이어폰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13일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특정소출력 무선기기 ‘UA플래시X’가 전파 적합성 평가를 받았다.
전파 적합성 평가는 국내에서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하거나 수입할 때 거쳐야 하는 절차다.
신제품은 하만이 중국에서 제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이름을 보면 JBL이 스포츠 브랜드 ‘언더아머’와 협업해 출시한 스포츠용 무선이어폰 ‘UA플래시’의 후속 제품으로 여겨진다.
UA플래시는 방수등급 ‘IPX7’을 지원한다. 15cm~1m 깊이의 물에 놔뒀을 때 30분가량 견디는 수준이다.
‘앰비언트 사운드’ 시스템을 탑재해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도 주위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완전 충전했을 때 5시간 연속 재생이 가능하며 휴대용 충전 케이스를 활용하면 20시간가량 더 충전할 수 있다.
현재 JBL 홈페이지에서 18만5천 원에 판매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하만 산하의 오디오 브랜드 JBL이 스포츠용 무선이어폰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 JBL 무선이어폰 'UA플래시'. < JBL >
13일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특정소출력 무선기기 ‘UA플래시X’가 전파 적합성 평가를 받았다.
전파 적합성 평가는 국내에서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하거나 수입할 때 거쳐야 하는 절차다.
신제품은 하만이 중국에서 제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이름을 보면 JBL이 스포츠 브랜드 ‘언더아머’와 협업해 출시한 스포츠용 무선이어폰 ‘UA플래시’의 후속 제품으로 여겨진다.
UA플래시는 방수등급 ‘IPX7’을 지원한다. 15cm~1m 깊이의 물에 놔뒀을 때 30분가량 견디는 수준이다.
‘앰비언트 사운드’ 시스템을 탑재해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도 주위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완전 충전했을 때 5시간 연속 재생이 가능하며 휴대용 충전 케이스를 활용하면 20시간가량 더 충전할 수 있다.
현재 JBL 홈페이지에서 18만5천 원에 판매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