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줄고 있지만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24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유행의 위험은 미래의 위험이 아니라 오늘도 현장에서 계속되는 현재 진행형 위험”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진다면 언제든 코로나19 유행은 용수철처럼 튀어 오를 수 있고 언제든 재발하거나 폭발할 수 있는 재난상황임을 같이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70대, 80대 이상의 어르신의 치명률은 매우 높아서 24%를 보여준다”며 “방역당국은 이러한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회적 봉쇄의 해제는 시기상조라고 바라봤다.
정 본부장은 “아직은 사회적 거리두기나 사회적 봉쇄를 해제하고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통제한 나라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주말과 어버이날을 앞두고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의 감염 예방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본부장은 “지금도 매일 산발적 지역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지역감염이 의료기관이나 요양병원·시설로 이어지면 우리 사회의 가장 약자인 기저질환자, 고령자에게 심각한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갈 수 있다”며 “모두 사회적 약자를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좀 더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
정 본부장은 24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유행의 위험은 미래의 위험이 아니라 오늘도 현장에서 계속되는 현재 진행형 위험”이라고 말했다.

▲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그는 “만약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진다면 언제든 코로나19 유행은 용수철처럼 튀어 오를 수 있고 언제든 재발하거나 폭발할 수 있는 재난상황임을 같이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70대, 80대 이상의 어르신의 치명률은 매우 높아서 24%를 보여준다”며 “방역당국은 이러한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회적 봉쇄의 해제는 시기상조라고 바라봤다.
정 본부장은 “아직은 사회적 거리두기나 사회적 봉쇄를 해제하고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통제한 나라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주말과 어버이날을 앞두고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의 감염 예방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본부장은 “지금도 매일 산발적 지역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지역감염이 의료기관이나 요양병원·시설로 이어지면 우리 사회의 가장 약자인 기저질환자, 고령자에게 심각한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갈 수 있다”며 “모두 사회적 약자를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좀 더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