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이 일본 SNS시장을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김상헌 네이버 대표는 라인의 글로벌시장 점유율을 더욱 높여야 한다고 본다. 네이버는 이를 위해 ‘라인 라이트’를 내세워 동남아와 중남미 공략에 나선다.
![]() |
||
▲ 김상헌 네이버 대표 |
일본 모바일 데이터 연구소는 지난 10일부터 이틀 동안 이용률이 가장 높은 모바일 SNS 순위를 조사했다.
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일본의 성인남녀 563명이다. 응답자들은 복수응답이 허용됐다.
조사 결과 라인은 이용률 66.6%를 기록해 1위에 올랐다. 이는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은 모바일 SNS 가운데 라인을 가장 많이 쓴다는 뜻이다.
라인은 이번 조사에서 페이스북(47.4%)과 트위터(35.3%) 등 인지도가 높은 글로벌 SNS 플랫폼을 모두 큰 폭으로 제쳤다.
네이버는 일본 자회사인 ‘라인' (당시 ’네이버 재팬‘)을 통해 2011년 6월부터 일본에서 라인을 서비스하고 있다. 라인은 비상장 회사다.
김상헌 대표는 라인이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는다. 라인의 올해 1분기 기준 월간 실질 활동자 수(MAU)가 2억500만 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3월 네이버 대표에 다시 선임되며 라인의 글로벌 이용자 수를 5억 명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포부를 밝힌 적이 있다.
네이버가 28일 ‘라인 라이트’를 출시한 것도 라인의 해외시장 점유율을 끌어 올리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
||
▲ 네이버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 |
라인 라이트는 기존 SNS보다 설치용량이 가벼워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낙후된 지역에서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중동은 김 대표가 공을 들이는 곳이다. 최근 이 지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앞으로 모바일 SNS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라인 라이트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이나 스마트폰 기기의 성능과 상관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라인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됐다”며 “라인의 글로벌 이용자 기반을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