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신규수주 부진에 따라 향후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다.
 
대림산업 목표주가 하향, "수주 부진해 올해 수주목표 달성 힘들어"

▲ 김상우 대림산업 석유화학사업부 대표이사 부회장(왼쪽), 배원복 대림산업 건설사업부 대표이사.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대림산업 목표주가를 기존 13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0월31일 대림산업 주가는 9만1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예상보다 늦어지는 신규수주의 흐름을 반영해 대림산업의 2020년 이후 실적 추정치를 소폭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주택부문에서 준공이 임박한 대형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고려할 때 대림산업이 2020년에도 견조한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보수적 수주전략과 화학부문의 투자 확대, 늦어지는 주주환원정책 등을 감안하면 주가 상승을 위한 모멘텀이 다소 약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림산업은 올해 1~3분기에 신규수주로 3조 원 규모의 일감을 따냈다. 해외 프로젝트의 발주 지연 등을 감안할 때 대림산업이 연초에 세운 수주목표 10조3천억 원 달성은 사실상 힘들어 보인다.

앞으로 대림산업의 실적은 화학부문이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림산업은 30일 미국 석유화학기업인 크레이튼에게 카리플렉스사업부를 5억3천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림산업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합성고무제품 라인업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연구원은 “대림산업은 인수 이외에도 북미 에탄 분해시설(ECC), 사우디아라비아 폴리부텐 투자 등도 진행하고 있다”며 “대림산업의 중장기 성장성은 화학부문이 결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림산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9조6094억 원, 영업이익 1조241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보다 매출은 13.9% 줄어들지만 영업이익은 22.1%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