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중소기업들과 함께 5G 기술 개발 생태계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국내외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들이 5G 서비스와 기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개발, 상용화할 수 있는 ‘5G 이노베이션랩’을 마곡 사옥에 열었다고 3일 밝혔다.
‘5G 이노베이션랩’ 개소와 함께 LG유플러스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5G 기술 개발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5G 상용화를 준비 중인 일본 이동통신사업자 ‘KDDI’와 전략적 제휴도 체결했다.
LG유플러스의 5G 이노베이션랩은 5G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에 필수인 5G 네트워크는 물론 기지국 장비, 디바이스 및 각종 서비스 플랫폼을 갖췄다.
중소 벤처기업들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곳에서 손쉽게 기술 개발 및 테스트, 상용화까지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5G 이노베이션랩은 약 230㎡ 규모로 △서버룸 및 네트워크존 △운영지원실 및 프로젝트룸 △플랫폼존 및 VR(가상현실) 개발존 등으로 구성됐다.
LG유플러스는 중소기업들이 5G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이를 곧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마곡 사옥에 근무하는 5G 네트워크와 서비스 분야의 LG유플러스 개발인력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LG유플러스는 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와의 제휴를 맺고 ‘오픈 이노베이션’ 분야의 국제 협력체제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KDDI와 함께 5G 이노베이션랩 및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과 관련한 글로벌 트렌트 등 정보공유와 상호 벤치마킹 등을 놓고도 협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상민 LG유플러스 FC부문장은 “5G 이노베이션랩은 5G가 일부 대기업만의 신성장동력에 그치지 않고 중소기업까지 모두 상생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글로벌 기업들과 국제적 협력은 물론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강화해 5G 생태계 활성화를 책임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LG유플러스는 국내외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들이 5G 서비스와 기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개발, 상용화할 수 있는 ‘5G 이노베이션랩’을 마곡 사옥에 열었다고 3일 밝혔다.

▲ LG유플러스는 국내외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들이 5G 서비스와 기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개발, 상용화할 수 있는 ‘5G 이노베이션 랩’을 마곡사옥에 열었다고 3일 밝혔다. < LG유플러스 >
‘5G 이노베이션랩’ 개소와 함께 LG유플러스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5G 기술 개발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5G 상용화를 준비 중인 일본 이동통신사업자 ‘KDDI’와 전략적 제휴도 체결했다.
LG유플러스의 5G 이노베이션랩은 5G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에 필수인 5G 네트워크는 물론 기지국 장비, 디바이스 및 각종 서비스 플랫폼을 갖췄다.
중소 벤처기업들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곳에서 손쉽게 기술 개발 및 테스트, 상용화까지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5G 이노베이션랩은 약 230㎡ 규모로 △서버룸 및 네트워크존 △운영지원실 및 프로젝트룸 △플랫폼존 및 VR(가상현실) 개발존 등으로 구성됐다.
LG유플러스는 중소기업들이 5G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이를 곧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마곡 사옥에 근무하는 5G 네트워크와 서비스 분야의 LG유플러스 개발인력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LG유플러스는 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와의 제휴를 맺고 ‘오픈 이노베이션’ 분야의 국제 협력체제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KDDI와 함께 5G 이노베이션랩 및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과 관련한 글로벌 트렌트 등 정보공유와 상호 벤치마킹 등을 놓고도 협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상민 LG유플러스 FC부문장은 “5G 이노베이션랩은 5G가 일부 대기업만의 신성장동력에 그치지 않고 중소기업까지 모두 상생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글로벌 기업들과 국제적 협력은 물론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강화해 5G 생태계 활성화를 책임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