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일 ‘2019년 산업전망’을 통해 “국내 제조업 영업이익이 2015년부터 4년 연속 오름세를 보였지만 내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일 ‘2019년 산업전망’을 통해 “국내 제조업 영업이익이 2015년부터 4년 연속 오름세를 보였지만 내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도체, 석유화학 등 국내 10대 제조업 영업이익은 올해 전망치보다 2.7% 하락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제조업 가동률은 2011년 고점에 이르렀다가 계속 하락하고 있으며 이 기간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생산 자체도 상당히 부진한 상황”이라고 바라봤다.
한국 제조업의 영업이익이 특정 산업에 쏠려있다는 점이 수익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와 석유화학이 한국 제조업 전체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6년 40% 수준에서 2017년 말부터 60%대로 크게 높아졌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 제조업의 진짜 문제는 경쟁력 약화로 주요 산업의 시장점유율이 중국에 추월당하고 있다는 것과 특정 산업에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라며 ”이는 앞으로도 한국 경제를 짓누르는 위험요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19년 국내 주요 제조업의 설비 투자 증가율이 낮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통신 등 설비투자 상위 10개 산업의 설비 투자 증가율은 내년에 2.8%로 올해 설비 투자 증가율 추산치인 6.4%를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