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력단절여성 현황. <통계청>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부가항목 경력 단절여성 현황’에 따르면 4월 기준으로 15세 이상 54세 이하 비취업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여성이 184만7천 명으로 조사됐다. 2017년 4월보다 0.8%(1만5천 명) 늘어났다.
경력 단절여성은 2014년부터 계속 줄어들었으나 2018년 늘어난 것이다. 4월 15세 이상 54세 이하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20.5%로 2017년 4월보다 0.5%포인트 높아졌다.
경력 단절여성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30~39세가 88만6천 명으로 48%를 차지했다. 40~49세는 66만 명(35.8%), 50~54세는 16만1천 명(8.7%), 15~29세는 13만9천 명(7.5%) 등으로 집계됐다.
18세 미만 자녀 수별로 경력 단절여성 수를 살펴보면 자녀 2명인 여성이 71만 명 전체 경력 단절여성에서 47.8%로 나타났다.
경력 단절여성 가운데 구직 단념자는 1만3천 명으로 2017년 4월보다 3.7%(1천 명) 줄어들었다.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4월 경력 단절여성은 경기도에서 6.6%(3만4천 명), 부산광역시에서 10.2%(1만1천 명) 2017년 4월보다 증가했다. 반면 서울특별시에서 7.1%(2만5천 명), 대전광역시에서 11.4%(7천 명)가 감소했다.
경력 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두게 된 이유로는 결혼 34.4%, 육아 33.5%, 임신·출산 24.1%, 가족 돌봄 4.2%, 자녀 교육 3.8% 등 순서로 조사됐다.
경력 단절여성이 일을 하지 않은 기간은 10~20년이 25.5%, 5~10년은 24.7%, 3~5년은 15%, 1~3년은 13.2%, 20년 이상은 11.1%, 1년 미만은 10.6% 등 순서로 나타났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