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지주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국제해사기구(IMO)가 도입하는 환경 규제의 최대 수혜주인 데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가 미뤄진 점 역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됐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현대중공업지주의 목표주가를 기존 46만4천 원에서 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현대중공업지주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2일 36만8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윤 연구원은 “스크러버(현대글로벌서비스), LNG선(현대중공업), 저유황유(현대오일뱅크) 등 모든 옵션에서 수혜가 뚜렷하다”며 “현대중공업그룹은 오랜 기간 환경 규제에 대비해 왔기에 국제해사기구의 환경 규제가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부터 국제 운항선박의 황산화물 오염 배출 기준을 3.5%에서 0.5% 이하로 제한한다.
현대중공업지주는 4분기에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윤 연구원은 현대중공업지주가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3470억 원, 지배주주 순이익 1094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영업이익은 767.5% 증가하고 지배주주 순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특히 현대오일뱅크의 4분기 영업이익이 3144억 원으로 3분기보다 3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던 현대중공업도 4분기 공사손실 충당금 축소, 고정비 감소가 예상돼 실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윤 연구원은 판단했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가 미뤄진 점 역시 투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오일뱅크는 현재 진행 중인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의 감리가 11월 안에 마무리돼도 현실적으로 2019년 2~3월에 상장할 가능성이 높다.
윤 연구원은 “현대오일뱅크가 4분기에 호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돼 상장에서 더욱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 연기가 대주주나 소액주주 모두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그는 “상장 이후 현대중공업지주의 보유지분 하락, 현대오일뱅크 공모가격 멀티플(목표배수) 결정 등을 추가로 고려하면 현대중공업지주의 우호적 배당을 기대해 볼 만하다”며 “상장 이후에도 현대중공업지주의 현대오일뱅크 지분율은 70% 내외로 추정돼 배당 유인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국제해사기구(IMO)가 도입하는 환경 규제의 최대 수혜주인 데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가 미뤄진 점 역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됐다.

▲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대표이사 부회장.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현대중공업지주의 목표주가를 기존 46만4천 원에서 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현대중공업지주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2일 36만8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윤 연구원은 “스크러버(현대글로벌서비스), LNG선(현대중공업), 저유황유(현대오일뱅크) 등 모든 옵션에서 수혜가 뚜렷하다”며 “현대중공업그룹은 오랜 기간 환경 규제에 대비해 왔기에 국제해사기구의 환경 규제가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부터 국제 운항선박의 황산화물 오염 배출 기준을 3.5%에서 0.5% 이하로 제한한다.
현대중공업지주는 4분기에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윤 연구원은 현대중공업지주가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3470억 원, 지배주주 순이익 1094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영업이익은 767.5% 증가하고 지배주주 순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특히 현대오일뱅크의 4분기 영업이익이 3144억 원으로 3분기보다 3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던 현대중공업도 4분기 공사손실 충당금 축소, 고정비 감소가 예상돼 실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윤 연구원은 판단했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가 미뤄진 점 역시 투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오일뱅크는 현재 진행 중인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의 감리가 11월 안에 마무리돼도 현실적으로 2019년 2~3월에 상장할 가능성이 높다.
윤 연구원은 “현대오일뱅크가 4분기에 호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돼 상장에서 더욱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 연기가 대주주나 소액주주 모두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그는 “상장 이후 현대중공업지주의 보유지분 하락, 현대오일뱅크 공모가격 멀티플(목표배수) 결정 등을 추가로 고려하면 현대중공업지주의 우호적 배당을 기대해 볼 만하다”며 “상장 이후에도 현대중공업지주의 현대오일뱅크 지분율은 70% 내외로 추정돼 배당 유인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