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증가폭이 5개월 연속으로 10만 명 안팎에 머물렀다.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의 고용대란 이후 처음이다.
정부가 일자리정책 등에 힘쓰고 있지만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6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6월 취업자 수는 2712만6천 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10만6천 명(0.4%)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18년 2월 10만4천명으로 나타나면서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월과 4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 명대를 맴돌다 결국 5월에 10만 명 선이 무너졌고 6월에도 10만 명대 수준에 머물렀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 명대에 머무르는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만 명대에 그쳤다.
상반기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만2천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상반기 취업자 수 증가폭(36만 명)과 비교하면 22만 2천 명이 줄어든 셈이다.
제조업 일자리 부진이 취업자 증가 폭을 끌어내리는 데 영향을 미쳤다.
6월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천명 줄어 3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 2017년 1월 제조업 취업자가 17만 명 줄어든 이후로 1년5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6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7천 명 줄었다. 8개월 연속 감소 추세에 있다.
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6천 명), 도매 및 소매업(-3만1천 명), 숙박·음식점업(-1천 명)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 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월(4천 명 증가)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늘었지만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종사자별로 살펴보면 상용직 근로자가 36만5천 명 증가했고 임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는 각각 13만 명, 11만7천 명 줄었다.
6월 고용률은 61.4%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6월 실업자는 103만4천 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2만6천명(-2.5%) 감소했다. 6월 실업률은 3.7%로 나타나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세∼29세) 실업률은 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지난해 6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낮았던 점을 고려해 기저 효과에 힘입어 2018년 6월에는 좋은 수치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으나 경기 흐름 등 좋지 않은 상황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정부가 일자리정책 등에 힘쓰고 있지만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청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6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6월 취업자 수는 2712만6천 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10만6천 명(0.4%)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18년 2월 10만4천명으로 나타나면서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월과 4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 명대를 맴돌다 결국 5월에 10만 명 선이 무너졌고 6월에도 10만 명대 수준에 머물렀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 명대에 머무르는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만 명대에 그쳤다.
상반기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만2천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상반기 취업자 수 증가폭(36만 명)과 비교하면 22만 2천 명이 줄어든 셈이다.
제조업 일자리 부진이 취업자 증가 폭을 끌어내리는 데 영향을 미쳤다.
6월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천명 줄어 3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 2017년 1월 제조업 취업자가 17만 명 줄어든 이후로 1년5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6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7천 명 줄었다. 8개월 연속 감소 추세에 있다.
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6천 명), 도매 및 소매업(-3만1천 명), 숙박·음식점업(-1천 명)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 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월(4천 명 증가)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늘었지만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종사자별로 살펴보면 상용직 근로자가 36만5천 명 증가했고 임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는 각각 13만 명, 11만7천 명 줄었다.
6월 고용률은 61.4%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6월 실업자는 103만4천 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2만6천명(-2.5%) 감소했다. 6월 실업률은 3.7%로 나타나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세∼29세) 실업률은 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지난해 6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낮았던 점을 고려해 기저 효과에 힘입어 2018년 6월에는 좋은 수치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으나 경기 흐름 등 좋지 않은 상황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